비씨켐 “올 3분기 ‘BSC-3301’ 경구용 황반변성 임상 진입”

by김새미 기자
2024.03.08 09:00:03

동물실험서 ‘아일리아’ 대비 우수한 CNV 억제 효능 확인
기존 적응증 CNS보다 임상속도 빠른 안과질환 특성 활용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비씨켐은 중추신경계질환(CNS) 치료제로 개발 중이었던 ‘BSC-3301’의 적응증에 황반변성을 추가한다. 올해 3분기에는 경구용 황반변성 치료제로서 BSC-3301의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비씨켐 로고 (사진=비씨켐)
비씨켐은 8일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이 같은 임상 전략 변경에 대해 밝혔다. BSC-3301이 황반변성을 적응증으로 한 경구제 동물효능 실험에서 비교군 ‘아일리아’(Eylea) 대비 우수한 맥락막 신생혈관(CNV) 억제 효능을 확인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시세포가 밀집된 황반에 비정상적인 혈관으로 인해 변성돼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현재 황반변성 치료제로는 대표적으로 아일리아가 있으며, 그 외에 ‘루센티스’(lucentis), ‘베오뷰’(beovue), ‘아바스틴’(avartin) 등이 있다. 해당 치료제들은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를 억제하는 항체로 안구 내 직접 주사하는 주사제이다. 이 때문에 바이오업계에선 경구용 황반변성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비씨켐은 경구투여제인 BSC-3301를 주사제인 아일리아와 CNV 억제 효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대상으로 습성황반변성의 병변과 유사한 C57BL/6 마우스 모델을 사용했다. BSC-3301을 100uL(30mg/kg/day) 용량으로 3일차부터 11일 동안 경구투여한 결과, BSC-3301의 경구투여 기간 CNV 병변이 감소하고 효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됐다. 또 아일리아 대비 우수한 CNV 억제 효능을 나타났다.



비씨켐의 신약후보물질 ‘BSC-3301’와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Eylea)의 맥락막 신생혈관(CNV) 억제 효능을 비교한 동물실험 결과 데이터 (자료=비씨켐)
BSC-3301은 수용체 상호작용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인산화효소 1(RIPK1) 타깃으로 하는 억제제다. RIPK1은 TNF 수용체1(TNFR1)의 염증성 신호를 매개하는 인자로 세포자멸괴사(necroptosis)와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을 포함한 염증 조절자이다.

비씨켐은 BSC-3301을 알츠하이머성 치매 등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로 개발해왔다. 현재 BSC-3301은 전임상 GLP 독성 연구를 완료해 500mg/kg/day까지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등 안정성을 확보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5xFAD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혈액뇌장벽(BBB)의 투과율이 약 71%, 정상 마우스 모델에서는 약 50% 이상이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시켜 5xFAD 마우스 모델의 행동 개선 효능을 획득했다.

비씨켐은 이번 BSC-3301의 CNV 억제 효능 결과에서 새로운 기전의 차세대 경구용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 BSC-3301의 적응증에 황반변성을 추가하고, 올해 3분기에 황반변성 치료제로서 BSC-3301의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이는 안과질환 치료제 임상이 CNS 치료제 임상보다 기간이 짧은 편이라는 것 등을 고려해 내린 결정이다.

서정법 비씨켐 대표이사는 “BSC-3301은 전임상 GLP 독성 연구가 완료된 단계로 올해 3분기에 임상시험 진입이 가능하다”며 “경구용 습성황반변성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