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혜미 기자
2016.11.10 08:03:57
재계 "임시주총서 등기이사 선임된 배경 있을 것"
갤노트7, 단종원인 아직 못밝혀..승마協 불법지원 의혹
이재용 부회장, 작년 박대통령 독대 진술에 소환 가능성
[이데일리 김혜미 기자] 삼성그룹이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과정에 적신호가 켜졌다.
당초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올해 등기이사에 선임된 뒤 이사회 의장직을 맡고, 오는 12월 인사때 회장직에 공식 취임하는 한편 대거 인사이동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갤럭시 노트7 단종에 이어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에게 불법으로 자금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특히 이 부회장이 지난해 7월 청와대 오찬에서 박 대통령과 독대해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을 논의했다는 의혹까지 나오면서 향후 검찰 소환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는 등기이사 선임에서부터 본격화된다. 삼성전자 임시 주주총회가 열렸던 지난 10월27일 안건은 프린팅솔루션 사업부 분할계획서 승인건과 이 부회장의 사내이사 선임건 등 두 건이었다. 이날 이 부회장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별다른 문제 없이 통과되면서 삼성전자 사내이사는 이 부회장을 포함, 권오현 부회장과 윤부근 사장, 신종균 사장 등 4명이 됐다.
사내이사에서 물러난 이상훈 사장(CFO)은 지난 2일 수요사장단회의에 들어가기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제 물러날 때가 되지 않았나”라는 요지의 발언을 한 뒤 “경영지원실장으로서 할 일을 열심히 하겠다”는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당시 삼성그룹 안팎에서는 이 부회장이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사내 등기이사로 선임된 것을 두고 경영권 승계를 위한 정해진 일정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내년 3월로 예정된 정기 주주총회가 아닌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등기이사에 오른 것은 무언가 서두르는 듯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재계에서는 이후 이 부회장이 이사회 의장직에 오르고, 이르면 올 연말 사장단 인사 시기에 회장직에 오른 뒤 임원 인사 등 대대적인 인사를 단행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삼성그룹은 통상 12월 초 사장단 인사와 임원 인사,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지난 2015년에는 12월1일에 사장단 인사를, 4일에 임원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최고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라는 극찬을 받았던 ‘갤럭시 노트7’은 사실상 첫번째 ‘이재용폰’이었다. 갤럭시 노트7은 삼성의 디자인 역량을 충분히 발휘한 엣지 디자인 외에도 홍채인식과 방수·방진 기능 등으로 예약판매 이틀 만에 20만대 판매를 넘어서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예상을 크게 넘어서는 인기는 삼성전자 내부에서조차 깜짝 놀랄 정도였으나 잇따른 배터리 폭발과 소손으로 갤럭시 노트7은 출시 54일 만에 단종됐다.
여기에 최근 삼성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휘말리면서 이 부회장의 승계 과정은 당분간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이 회장을 맡고있는 대한승마협회와 삼성이 정유라 씨에게 불법적으로 자금을 지원한 정황을 포착했으며 전달경위 등 전반을 살펴보고 있다. 삼성은 지난해 9~10월경 최순실씨 모녀가 독일에 설립한 ‘코레스포츠(현 비덱스포츠)’와 컨설팅 계약을 맺고 280만유로(약 35억원)를 특혜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삼성은 청탁을 한 것이 아니라 최 씨가 자신의 입지를 내세워 삼성에 접근, 지원을 요구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이 검찰 진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이 부회장을 비롯한 기업 총수 7명과 독대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져 소환 여부도 주목되고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08년 2월 삼성특검 당시 소환돼 14시간 가량 조사를 받은 경험이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는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사회 의장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던 지난 11월2일 이사회에서 권 부회장이 이사회 의장직을 계속 유지하기로 한 점도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다만 갤럭시 노트7 단종으로 인한 비용이 7조원을 넘어서는 만큼 최대 매출부문인 IT·모바일(IM) 사업부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인사는 불가피해보인다.
삼성의 한 고위 관계자는 “역대 최대규모 인사가 될 것 같다”고 조심스럽게 관측했다. 아울러 삼성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미래전략실의 기능 축소 또는 이전 여부도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