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고싶은 유틸리티株 `요금 좀 조정해주세요`

by박형수 기자
2011.07.01 09:05:43

[이데일리 박형수 기자] 한국전력(015760)과 한국가스공사(036460)의 실적 회복 전망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가 물가 인상 억제를 위해 이달 가스요금을 동결하고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 다음달 이후로 연기한 탓이다.

정부가 물가 억제를 여전히 최우선 과제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 다시 한번 증명되면서 유틸리티 업종 주가는 당분간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1일 NH투자증권은 한국가스공사에 대해 정부의 도시가스 요금 동결로 정부 규제 리스크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지헌석 애널리스트는 "요금이 동결되면서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이 7~8월 다시 증가할 것"이라며 "주가는 당분간 횡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가스 요금 동결로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은 784억원가량 추가될 전망이다. 한국가스공사 미수금은 이미 지난 5월 말 3조9000억원을 넘어섰다.



미수금 증가보다 투자심리를 짓누르고 있는 것은 앞으로 요금 인상 가능 여부다. 물가 억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정부는 원료비가 떨어지는 시기에 가격을 덜 인하하는 방법으로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을 줄이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민들의 물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요금 인상 폭을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한국가스공사에 대한 신뢰 회복이 험난할 것을 예고한 셈이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유가에 상관없이 6개월 정도 원료비 연동제가 잘 적용된다면 가스공사의 신뢰가 회복될 수 있다"면서도 "아직 정부 규제 수위가 낮아진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한국전력공사도 정부 규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기는 마찬가지 상황이다. 정부는 이달로 예정된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를 다음달 이후로 연기했다. `요금 인상 폭을 소비자물가 상승률 이내에서 결정한다`는 원칙도 고수한다.

증시 전문가들은 다만 정부의 결정에 대해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의도로 해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성급한 매도 결정보다 흐름을 주시해야 한다는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