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한 채 값 5억원 아래로 추락

by양희동 기자
2013.03.06 09:12:06

올 1월 4억 9618만원, 2009년 1월 이후 최저
아파트 전세가율은 58.3%로 10년 새 최고치
새 정부 정책 변수로 인해 바닥론도 신중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한 채 값이 평균 5억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5억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9년 1월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4일 한국감정원과 KB국민은행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지난해 12월 5억 780만원에서 올 1월 4억 9618만원으로 하락하며 5억원선이 무너졌다. 이어 지난 2월에는 4억 9417만원으로 다시 내려 2011년 6월 이후 20개월째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값의 5억원대 붕괴는 국민은행이 지역별 아파트 한 채당 가격을 발표하기 시작한 2009년 1월(5억 1925만원) 이후 4년만이다. 주택가격동향조사는 지난해말까지 국민은행에서 시행하다가 올해부터는 감정원이 이관받아 발표하고 있다. 올 2월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고점이었던 2011년 6월의 5억4559만원에 비해서는 10% 가까이 떨어진 상태다.

반면 올 2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첫 조사를 시작한 2011년 6월(2억 4902만원)이후 최고 수준인 2억 6947만원까지 올랐다. 전용면적 및 건축 연령별 매매가와 전세가를 바탕으로 한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55.9%로 2002년 이후 최고치다. 특히,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58.3%에 달해 전세가율이 고점이었던 2001년 10월 58.7%에 육박하고 있다.



전세가율 상승은 향후 매매가격이 오를 가능성을 높여 매수세 확대로 이어진다는 것이 과거 주택시장의 일반적인 공식이었다. 전세가율이 60%에 이르면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매매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극심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이같은 전통적 매매 공식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부동산 거래 활성화 대책 역시 일시적 효과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9·10대책으로 취득세가 한시적으로 감면되면서 작년 12월 주택 거래량이 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혜택이 끝난 올 1월에는 거래량이 전월 대비 75% 줄어든 이른바 ‘거래 절벽’이 나타났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 아파트값이 심리적 지지선인 5억원선마저 무너진 것은 현재의 주택 시장 침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취득세 감면 연장이 올 상반기로 한정되는 등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수로 인해 전세가율 상승에 따른 집값 바닥론을 말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 추이. 자료:KB국민은행·한국감정원(단위: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