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소연 기자
2024.09.06 06:00:00
일반 D램·소비자용 SSD 수요는 약세
수요 몰리는 AI 서버용 제품 기술개발 박차
삼성·SK, 고용량·저전력 메모리 제품 경쟁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인공지능(AI) 서버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기업용 SSD(eSSD) 수요 외에 다른 메모리의 수요는 상대적으로 침체한 모습이다. 범용 D램이나 소비자용 SSD 수요는 완만해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수요가 있는 AI 서버용 제품 개발과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D램과 낸드플래시에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5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이달 평균 고정거래가격이 2.05달러를 기록했다. 전월(2.10달러)보다 2.38% 낮아졌다. 올해 DDR4 D램 평균 고정거래가격이 떨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D램 고정가격이 오는 4분기에도 상승하겠으나, 그 상승폭은 3~8%로 전기(8~13%)보다는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PC 판매 부진으로 범용 D램 수요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어서다.
낸드 역시 4분기 가격이 하락 전환할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전망했다. 올해 2분기 낸드 소매 출하량은 전년 대비 40% 감소했다. 낸드 가격은 3분기 상승률이 5~10%로 떨어지고, 4분기에는 0~5% 하락 전환할 것으로 예측된다.
AI 서버에 들어가는 간판 제품인 HBM 외에 범용 D램 제품은 PC 판매 실적 부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 아울러 AI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가 막대하게 늘어나면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고용량 기업용 SSD 주문을 늘리고 있다. 고용량 eSSD는 뚜렷한 수요 증가세를 보이지만, 모바일이나 PC에 쓰이는 소비자용 SSD 수요는 상대적으로 약한 모양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수익성 중심의 판매 운영 기조에 따라 HBM, 서버향 DDR5 D램 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낸드에서는 기업용 SSD 위주로 판매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