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뇌 마비…말 잃지 않은 이유[뇌졸중 극복하기]
by이지현 기자
2024.07.06 13:21:47
[44편]
10명 중 8명 이상 오른손잡이 언어중추 왼쪽에
왼손잡이 언어중추 오른쪽 왼쪽 뇌졸중 피해 최소
서울대 의대 학사, 석·박사를 거친 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중환자의학과 교수는 현재 대한뇌졸중학회에서 홍보이사를 맡고 있다. ‘뇌졸중 극복하기’ 연재 통해 뇌졸중이 치료 가능한 질환임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김태정 교수] 정만수(73)씨는 간밤부터 오른쪽 팔과 다리에 마비증상이 왔다. 저릿한 느낌이 확대되더니 잘 움직이지 않았다. 말을 하면 발음이 어눌해 다른 가족이 못 알아들었다. 한숨 자고 나면 괜찮아지겠지 했지만,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다. 아무래도 이상해 응급실을 찾았다. 첫 증상이 나타나고 10시간 만이었다. 정만수씨는 어떻게 됐을까?
정씨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기저질환으로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절을 잘 하지 않았고, 매일 한 갑씩 흡연도 했다. 이를 확인한 응급실에서는 뇌졸중을 의심하고 뇌 CT를 시행했고 좌측 중대뇌동맥 영역에 뇌경색을 확인했다. 좌측 중대뇌동맥 폐색이 나타난 것이다. 하지만, 증상 발생 10시간 만에 응급실에 온 탓에 골든타임을 놓치고 말았다. 결국 정맥내 혈전용해제를 투약하지 못했고 이미 뇌경색 병변이 많이 진행해 동맥 내 혈전제거술도 진행하지 못했다. 결국 정씨는 급성기 치료 및 향후 뇌경색 병변의 뇌부종이 진행할 경우 뇌압상승에 대한 치료가 필요해 뇌졸중 집중치료실로 입원했다.
좌측 중대뇌동맥 영역 뇌경색 환자 대부분은 우성반구인 왼쪽 대뇌반구 큰 뇌경색으로 말을 하거나 이해하는 것이 모두 어려운 전실어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정씨도 이같은 증상이 예상됐다. 하지만, 발음만 어눌했을 뿐 응급실에서부터 본인의 이름과 나이에 대한 의료진 물음에 대답할 수 있었다. 입원 후에도 우측 편마비는 심해 움직일 수 없었으나 간단한 대화는 모두 가능했다. 정씨가 다른 경향을 보인 이유는 왼손잡이였기 때문이다.
한 국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86.3%는 오른손잡이, 5.8%는 왼손잡이, 7.9%는 양손잡이였다. 10명 중 8명 이상이 오른손잡이인 셈이다. 이런 오른손잡이의 95% 정도는 반대쪽 대뇌반구인 왼쪽에 우성반구, 즉 언어중추가 위치한다. 소리를 듣거나 시각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이해하고, 말을 하는 주요 기능을 왼쪽 대뇌반구에서 진행하는 것이다. 해당 과정에서 비우성반구인 오른쪽 반구에서 공간 및 이외 감각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
왼손잡이는 어떨까. 오른손잡이의 우성반구를 생각하면 왼손잡이의 언어중추는 오른쪽에 대부분 위치할 것 같지만, 왼손잡이 70%의 우성반구는 왼쪽이고, 30% 정도만 오른쪽 반구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른손잡이의 5% 정도, 왼손잡이의 30% 정도는 왼쪽 반구에 뇌졸중이 와도 대화가 가능하다. 아주 드물게 오른손잡이 환자가 오른쪽 대뇌반구에 뇌졸중이 온 이후 실어증이 발생하는 교차실어증이 5% 정도에서는 발생할 수도 있어, 처음 신경학적 검진을 할 때 이러한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고 검진하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
정만수씨는 왼손잡이로 오른쪽 대뇌반구가 우성반구, 즉 언어 중추가 있어 실어증 없이 대화가 가능했던 것이다. 입원 중 뇌부종이 나타나 약물치료를 통해 부종이 호전되기도 했다. 하지만 우측 반신 마비는 회복이 거의 되지 않아 와상 상태로 퇴원하고 말았다.
보통 알려진 뇌병변 위치에 따른 증상이 각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오른쪽 대뇌반구에 뇌졸중이 있어 의사소통이 될 것 같지만 안되는 경우가 있고, 좌측 대뇌반구에 뇌졸중이 있어 실어증이 있을 것 같지만 대화가 가능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하게 기억할 것은 가능한 뇌졸중 이후 후유장애를 최소화 하기 위해 골든타임 내 초급성기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웃, 손발, 시선’을 기억하여 뇌졸중이 발생해도 빠르게 치료받아 후유장애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