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가짜 역사'는 어떻게 수용되는가
by이윤정 기자
2022.08.04 09:11:17
동북아역사재단 학술회의
''위안부'' 문제 현안 점검
8월 5일 비공개로 진행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현안을 점검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8월 5일 비공개로 개최하는 학술회의를 통해서다.
|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사진=연합뉴스). |
|
이날 회의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부정하기 위한 부정론자들의 ‘가짜 역사’ 생산과 유통·수용 구조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부정론이 한국인 피해자 공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을 집중 분석하면서 부정론자들의 초국적 네트워크 형성 양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제1부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 부정의 고리들’에서는 위안부 한국인 피해자에 대한 ‘가짜 역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본다. 1990년대 피해부정 프레임의 원형을 만들었던 하타 이쿠히코의 비학문적 언행을 검토하며, 이것을 아베 정권이 어떻게 일본정부의 정책에 수렴했는지 살펴본다. 2014년 ‘아사히 기사 검증’은 부정론자의 ‘확증편향’을 일본사회에 안착시킨 사건이었다. 이후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까지 이어지면서 일본 사회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이미 끝난 문제’로 인식됐고, 이것이 한일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노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도 살펴볼 예정이다.
제2부 ‘역사부정론의 네트워크와 유통, 그리고 수용’에서는 역사부정론의 초국적인 네트워크 조직과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부정론자들의 논리와 행태를 살펴본다. 아직까지도 현재진행형인 ‘램지어 사태’의 현황을 점검하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부정론이 어떻게 초국적으로 조직·확산되고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가짜’를 ‘진실’로 치환시키는 ‘상호참조’의 방법론과 ‘램지어 구하기’의 실체를 확인하고 이어 일본의 민간 극우재단들에 대해 국제정치학적 측면에서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