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한종완 기자
2018.11.29 08:00:49
회사원 현모(26)씨는 최근 자금이 필요해 대출기관을 알아봤지만 쉽사리 대출을 신청하지 못했다. 신용등급이 낮아 은행 대출을 이용할 수 없는 현씨에게 연 20%가 넘는 저축은행과 대부업의 높은 이자가 부담됐기 때문이다.
최근 현씨와 같은 ‘2030청년층’이 연 10%대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P2P(Peer to Peer·개인간 거래)금융시장에 몰리고 있다. 은행 저금리 대출과 대부업 고금리 대출 사이의 중금리 대출이다.
반면 최근 1~2년 새 갑작스럽게 P2P금융시장이 확대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8퍼센트, 렌딧 등 개인 신용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P2P업체의 평균 대출금리는 연 10%초반 대다. 2금융권보다 대출금리가 낮아 기존의 고금리 대출을 P2P대출로 갚고 이자를 절약하는 대환대출 고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렌딧은 대환 전 연 28.7%의 높은 대부업 금리를 연 11.7%로, 연 24.8%의 저축은행 금리를 연 12.5%로 낮췄다. 대출로 절약한 이자가 39개월간 총 100억원이 넘는다고 밝혔다.
채무자에게 연 10%대의 대출금리는 갚아야 할 돈이지만 채권자에게는 수익률이다. 연 2%가 채 안 되는 은행 수익률보다 4배 이상 높아 최근 누적 투자액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렌딧 관계자는 “수익률이 높은 대신 원금손실 위험이 있지만 5000원부터 소액 분산투자가 가능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소액 자금이라도 100~4000여개 상품에 분산투자해 리스크를 줄이고 있다.
그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자체 개인 신용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엄격한 자율규제안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투자 P2P업체인 어니스트펀드(Honest Fund) 관계자는 “아직 주력 투자 층은 3040세대지만 최근 20대의 유입이 많아졌다”고 언급했다.
어니스트펀드 통계자료를 보면 11월 기준 전체 투자자 중 20대와 30대 투자비중은 각각 37%, 34%로 투자자 10명 중 7명이 2030이다. 투자금액 역시 2030이 45%를 차지할 만큼 젊은 층의 이용이 많다.
렌딧 관계자는 “개인 신용대출과 투자 모두 30대의 참여가 가장 높다”며 그 이유로 “모바일 채널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P2P대출이 인기를 끌자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우후죽순 생겼다. 현재 약 200개에 달하는 P2P업체 가운데 일부는 높은 수익률로 투자자를 유혹해 사기행각을 벌였다. 한 업체는 가짜 금괴를 담보로 투자자를 유인했다.
지난 20일 금융감독원은 P2P업체의 사기·횡령에 의한 투자자 손실만 1000억원 이상이라고 했다. 일부는 자금 회수조차 불가능했다. 주로 허위상품을 제시하거나 부동산·동산 담보권 등을 허위로 공시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P2P업체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자했다가 손해를 봤다는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P2P대부업체 먹튀 신고합니다”, “시장이 커지니까 사기꾼들 몰려오겠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지난 10월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접수된 P2P금융 민원 3155건 중 2990건(94.8%)이 P2P대출 피해였다. 이중 허위 대출 피해가 전체의 58.2%로 가장 많았다. 투자금 회수 지연이 25.8%로 뒤를 이었다.
시장이 커지면서 P2P금융 피해자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지만 투자자 보호와 업체 규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법규정이 없어 투자자 혼란만 가중하고 있다.
금감원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동산담보대출 등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견됐다”며 “P2P 업체를 직접 규율할 법제화 추진 시 유관기관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