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S 사무총장 "내년 금리 인하 이르다…인내심 갖고 지켜봐야"
by하상렬 기자
2023.11.26 12:00:00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BIS 사무총장 기자간담회
"통화정책 영향 충분 발휘 때까지 금리 유지해야"
긴축 재정 강조…"통화·재정정책 같은 방향으로 가야"
"양적 재정 성장 구조에서 탈피해야…구조개혁 필요"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국제결제은행(BIS)이 내년 금리 인하가 이르다고 평가했다. 물가가 충분히 안정됐다고 확신하기 전까진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제공) |
|
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은 지난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언젠가는 (금리 인하를) 하겠지만 당장 내년이라고 하긴 이르다”며 “물가가 안정돼 통화정책 영향이 충분히 발휘됐다고 생각할 때까지 금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화정책은 시차가 있기 때문에 물가와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그렇기에 중앙은행들이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전 세계 대부분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이 끝났다고 보면서도, 아직 인플레이션으로부터 승리를 선언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라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물가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국가가 소위 말하는 연착륙을 달성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 불안이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승리를 선언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재정정책에서의 긴축을 강조했다. 그는 “2년 전 물가 상승이 본격화된 이후 많은 국가에서 통화정책을 긴축했지만, 재정 부양 정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더욱 확장됐다”며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좀 더 공조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간다면 물가를 낮추고 금리를 낮추는 데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조사국장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제공) |
|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적 재정 정책을 통한 성장 구조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과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신현송 BIS 경제보좌관 겸 조사국장은 “구조조정이라는 문제는 단순히 단기적인 정책을 떠나 경제 체질을 강하게 바꾼다는 취지”라며 “우선 생산성을 향상해야 하는데, 전반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여러 의견을 모아 한 방향으로 같이 갈 수 있는 정책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을 써야 하는지는 민간 부분과 공공 부문이 같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고금리 장기화 기조 속 신흥국에서의 자본 유출 문제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과거 많은 신흥국의 경우 외부 금리 변화에 아주 취약한 거시경제의 불균형이 있었지만, 지금은 몇십 년간 위기를 겪으면서 좀 더 건전한 거시경제 정책을 갖게 됐고 많은 취약성을 해결했다”며 “대부분 신흥국에서 거시 금융안정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원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판단했다.
그는 한국의 통화정책이 미국으로부터 충분히 독립적이라고 평가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일반적으로 한국뿐 아니라 많은 국가가 미국 통화정책에 영향을 받고 있지만, 한은이 충분히 정책 외부 상황이나 미국의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한국 금융안정 리스크 중 하나인 가계부채에 대해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지방 정부나 은행들이 모두 공조해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가 100%가 넘는 상황인데, 금융당국이 이런 상황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더 신중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거시건전성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 국장도 “가계부채 비율이 GDP 대비 너무 높으면 소비가 위축되기 때문에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며 “금융안정뿐만 아니라 경제 부양을 위해서도 거시경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