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 찬성률 76.7%..10일부터 '의료파업' 돌입(상보)

by김재은 기자
2014.03.01 15:12:01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정부가 추진중인 원격진료와 영리병원 허용에 반대하는 ‘의료파업’이 오는 10일부터 진행된다. 총파업 찬성률은 76.7%에 달했다.

대한의사협회는 1일 심평원 등록회원(9만710명)중 4만8861명(52.87%)이 투표에 참여해, 이중 3만7472명(76.69%)이 총파업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총파업에 반대의사를 표한 회원은 1만1375명(23.28%)으로 집계됐다. 무효(기권)는 14명(0.03%)에 그쳤다.

의사협회는 이날중 2기 비대위원회를 구성하고, 총파업의 형태, 기간 등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노환규 의협회장은 “빠르면 오늘중 2기 비대위원회 구성을 매듭짓고, 파업의 형태(전면파업, 부분파업)와 투쟁방식 등을 결정할 것”이라며 “늦어도 다음주 월요일(3일) 오전까지는 정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의사협회는 원격진료와 영리병원 허용 반대, 건보제도 개혁을 비롯해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분야 독립 등을 투쟁의 목표로 내걸었다. 노 회장은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전문가가 온 게 언제인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며 “보건의료분야의 별도 독립을 추가했고, 의협이 내세운 3가지 큰 틀의 요구조건 중 포기할 수 있는 것은 단 하나도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의사들의 총파업이 동력을 얻으려면 전공의 등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에 대해 노 회장은 “전공의들의 전면적인 파업참여는 언제될 지 모르지만, 조기에 부분참여는 반드시 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의사협회는 정부의 원격진료와 영리병원 허용에 반대하며 지난 1월 11~12일 양일간 총파업 출정식을 갖고 3월 3일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했었다. 의협과 복지부는 ‘의료발전협의회’를 통해 5차례 가량 대화에 나섰고, 양측은 지난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원격의료법과 의료법인 영리 자회사 설립 허용 등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환규 의협회장 및 비대위원장은 협의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비대위원장을 사퇴했다. 이후 의협은 비대위를 해체하고 상임이사회를 통해 총파업 시작일을 3월 10일로 연기했으며, 21일부터 28일 자정까지 찬반투표를 진행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