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값 10년간 42%↑…저소득층 체감물가 확 뛰었다

by김정남 기자
2025.04.02 06:00:00

한경협, 최근 10년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분석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최근 10년간 식료품 가격이 40% 이상 뛰면서 저소득층의 체감물가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수급 안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10년간(2014년~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소득 1분위(하위 20%)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소득 5분위(상위 20%)의 20.6%보다 2.6%포인트 높았다.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진 것이다. 실제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등으로 집계됐다.

(출처=한경협)


연도별로 분석할 경우 최근 2019~2024년 6년 중 2022년을 제외하고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소득 5분위보다 매년 높았다. 한경협 관계자는 “코로나19 직전부터 저소득층인 1분위의 체감물가가 5분위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돼 왔음을 의미한다”고 했다.



분위별로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을 보면, 소득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 20.9%) △주택·수도·광열 20.0% △보건 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낮을수록 생존과 직결된 지출이 많았던 것이다.

지난 10년간 저소득층이 주로 소비하는 식료품 물가는 41.9% 급등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식료품 물가가 오른 게 저소득층의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경협 측은 분석했다. 소득 5분위의 경우 △교통 13.0% △교육 10.5% △오락·문화 9.0%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 마련, 유통 규제 개선,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