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국배 기자
2024.01.07 12:00:02
금감원 오늘부터 KB·한투부터 12개 판매사 현장 검사
작년 말 실태 점검서 '판매 한도 관리 미흡' 등 포착해
1분기 3.9조 만기…이달부터 대규모 손실 줄줄이 확정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일부 금융사의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한도 관리 미흡 등 문제점을 발견한 금융감독원이 12개 주요 판매사를 상대로 일제 현장 검사에 나선다. 이달부터 홍콩H지수 ELS의 대규모 손실이 줄줄이 확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현장 검사를 통해 위법 사항이 없었는지 따지겠다는 것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8일 KB국민은행과 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총 12개 판매사에 대해 현장 검사를 시행한다. KB국민은행은 은행권, 한국투자증권은 증권업계 최대 판매사다. 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과 미래에셋·삼성·KB·키움·신한증권 등 나머지 10개 판매사에 대해서도 이달 중 검사에 순차적으로 착수한다.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착수한 건 작년 11~12월 중 12개 판매사의 홍콩H지수 ELS 판매 실태 점검을 위해 현장(KB국민은행)·서면 조사한 결과 판매 관리 체계상 문제점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예컨대 KB국민은행은 H지수가 30% 이상 떨어지면 변동성이 크다고 여기고 판매 목표 금액을 50%로 줄이는 등 자체 내부 규정이 있었지만 이 시기 판매 한도를 80%로 끌어올린 정황이 확인됐다. 수수료 수익 증대 때문 아녔느냐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또 1000점 만점의 핵심 성과 지표(KPI) 점수 중 약 410점이 ELS 판매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돼 있었다. 금감원은 이런 요인 때문에 은행 직원이 중도 해지를 해주지 않았으리라 유추했다.
박충현 금감원 은행 부문 부원장보는 “고객이 6개월 시점에 손실이 나도 똑같은 쿠폰 수익률을 KPI에 반영했다”며 “그러다 보니 은행 직원이 이 상품을 계속해서 많이 팔 유인이 발생한 게 아닌가 그렇게 보고 있다”고 했다. 고객이 중도 환매 시점에 -30% 수익률을 기록하면 이 숫자를 KPI에 반영하지만 중도 해지하지 않으면 처음 약속된 쿠폰 수익률을 그대로 KPI에 반영해줬다는 설명이다. 한마디로 직원 입장에선 ‘중도 해지하지 않으면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KB국민은행과 한투증권에 대해서는 별도로 분쟁 민원 사실관계 파악 등을 위해 민원 조사도 동시에 진행한다. 금감원은 은행권이 2019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이후 투자자 보호 등 고객이익 보호 중심의 영업을 전제로 고난도 금융상품(ELS) 신탁 판매 허용을 요청했던 점을 고려해 고객 이익을 고려하지 않은 영업 행태 등위법사항을 확인하는 대로 엄중 조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