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텐센트도 제쳤다…시총 8위 '비트코인' 안전자산 자리잡을까
by김정남 기자
2021.02.18 07:02:47
거침없는 질주…비트코인 5만2000달러
비트코인 시총 1조달러 육박…세계 8위
6위 은 따라잡나…안전자산 격상 분수령
블랙록, 운용 펀드에 비트코인선물 담아
회의론 적지않아…"가격 안정성 떨어져"
JP모건 일침 "최근 투기적 매수세 영향"
| 17일 오후(현지시간) 기준 전세계 자산들의 시가총액 순위. (출처=컴퍼니스마켓캡 캡처) |
|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비트코인은 ‘디지털 안전자산’이 될 수 있을까. 비트코인 가격이 1개당 5만2000달러선까지 돌파하고 있는 가운데 시가총액이 세계 모든 자산 중 8위까지 올랐다. 특히 금(金)과 함께 주요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은(銀)의 시총 규모까지 위협하고 있어 주목된다.
17일(현지시간) 가상자산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2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개당 5만2177달러(약 578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내 기준으로 장중 5만2254달러까지 치솟았다. 5만달러선까지 오른 이후 레벨 부담이 커졌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나왔으나, 아랑곳하지 않고 상승 탄력을 받고 있다.
비트코인값 폭등에 시총은 1조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컴퍼니스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현재 비트코인의 시총은 9729억달러(약 1077조5000억원) 규모로 세계 8위에 등극했다. 당초 중국 텐센트에 뒤져 있었으나 최근 랠리로 8위까지 올라섰다.
비트코인에 앞서 각국 통화당국이 준비자산(reserve assets)으로 보유할 정도로 독보적인 안전자산인 금(11조2670억달러)이 시총 1위에 올라 있다. 그 뒤를 애플(2조1970억달러), 사우디 아람코(2조370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1조8420억달러), 아마존(1조6660억달러), 은(1조4990억달러), 알파벳(구글 모회사·1조4310억달러) 등이 잇고 있다.
비트코인 뒤에는 텐센트, 페이스북, 테슬라, 알리바바, 버크셔 해서웨이, TSMC, 삼성, 구이저우 마오타이, 비자, JP모건체이스, 존슨&존슨, 월마트 등 굴지의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관심이 모아지는 건 은의 시총과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비트코인 시총이 은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곧 비트코인이 디지털 안전자산으로 한 단계 격상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 월가의 한 금융사 인사는 “레딧을 중심으로 한 개미들이 게임스톱(게임스탑·GME) 이후 타깃을 은으로 정했을 당시 회의론이 많았다”며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은 시장의 규모가 크다는 점”이라고 했다. 시총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각종 리스크에 대처하는데 수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 비트코인은 2017년 말 폭락장 때와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월가 큰 손’ 블랙록이 비트코인 투자에 뛰어들었다는 소식까지 이날 전해졌다. 릭 라이더 블랙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나와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부채가 증가하는 가정 하에 가치 저장소를 찾고 있다”며 “우리는 비트코인에 조금 발을 담그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비트코인이 안전자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블랙록이 시사한 것이다. 블랙록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블랙록은 올해 1월 운용하는 두 개의 펀드에 비트코인 선물을 추가했다.
블랙록이 비트코인의 안전자산 가능성을 언급한 건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마스터카드, 비자, 뉴욕멜론은행(BNY멜론) 등 제도권 금융사들과 테슬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 대기업들이 투자에 나선 것보다 더 상징적이다.
라이더 CIO는 “역사적으로 볼 때 우리는 현재 너무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며 “갖고 있는 현금 중 일부를 가상자산으로 보유하는 건 타당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는 “우리는 단순히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정도가 아니라 향후 10년간 가상자산, 블록체인, 비트코인이 기술과 기업 전반에 걸쳐 가질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력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시총 2위인 이더리움의 순위는 54위다. 2098억달러 규모다. 노바티스(57위), 화이자(62위), 머크(64위), 오라클(66위), 셰브런(69위), 소프트뱅크(70위), 퀄컴(77위), 맥도널드(80위) 등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기업들이 이더리움 뒤에 있다.
| 래리 핑크 블랙록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제공) |
|
그러나 시총을 통해 비교하는 게 아직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너무 높다는 점에서다. 시총 최상위권 기업 혹은 원자재의 가치는 웬만한 이슈에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안정성이 있다. 다만 비트코인의 경우 워낙 단기 폭등했다는 게 약점으로 꼽힌다. 반대로 폭락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JP모건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현재 가격은 지속가능하지 않아 보인다”고 일침을 가했다.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로우 전략가는 “비트코인이 가격 널뛰기를 멈추지 못한다면 현재 상승 랠리를 지속하지 못할 것”이라며 “비트코인 시총은 최근 5개월 만에 7000억달러 불어났는데, 올해 1월 이후 가격 움직임을 보면 투기적인 매수세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추격 매수가 들어올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10만달러 이상 얼마든지 오를 수 있겠지만, 금 혹은 은처럼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뜻으로 읽힌다.
월가 내에는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으로 인정 받기까지 한참 시간이 흐르며 검증 받아야 한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주요 기관들이 투자 포트폴리오 내에 금과 같은 비중으로 편입하는 건 아직 상상하기 어렵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