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방성훈 기자
2014.01.30 15:42:36
"美 양적완화 규모 축소..세계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무리한 환율 관리보다 외환보유고 적정수준 유지 중요"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한국도 신흥국 금융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미국이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달러 추가 축소키로 하면서 일부 신흥국에서 위기가 발생, 세계 금융시장 불안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환율보다는 외환보유고 관리에 중점을 둬야하며, 주요 국가들과의 유동성 공조 강화, 상황별 위기대응 능력 제고 등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0일 내놓은 ‘신흥국 외환위기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정부부채·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등 국제통화기금(IMF)의 거시경제 건전성지표를 사용해 신흥국들의 위기대응에 대한 취약성을 점검한 결과, 인도, 터키, 우크라이나,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집트 등이 최고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이들 최고위험군 국가의 위기가 고위험군(베트남,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등)으로 전이될 경우, 중위험군(대만, 태국, 체코 등) 및 저위험군(한국, 필리핀 등)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아르헨티나가 IMF 구제금융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주요 신흥국들의 통화가치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하는 등 신흥국 금융위기가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달러 추가 축소키로 하면서 글로벌 자금흐름 변동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도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홍준표 연구위원은 “한국은 외환보유액 규모가 충분하고, 경제 여건이 전반적으로 양호해 금융위기 가능성이 낮다”면서도 “신흥국 위기가 한국의 외환·채권·주식시장 등 금융부문은 물론, 수출·물가 등 실물부문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