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 예고]③집 살까 말까.. 실수요자 투자전략은?

by이진철 기자
2017.06.10 08:30:02

하반기 금리인상에 입주물량 과잉 리스크 대비해야
본인 재무상황·정부 규제책 살핀 후 내 집 마련 바람직

한 시민이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앞에 빼곡히 붙은 아파트 시세표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전문가들은 최근 집값 급등이 서울 강남권과 부산 해운대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된 국지적 과열현상으로 분석했다. 지방은 실거래가 기준으로 마이너스를 보인 지역이 많기 때문에 전국적인 과열 상황이 아님에도 시장에서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주택시장은 강남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인 이상 현상이지 전형적인 대세 상승기는 아니다”라며 “오히려 하반기에는 금리 인상이 예고돼 있고 입주 물량 등 공급 증가 리스크가 남아 있어 가파르게 오르는 강남 집값도 내년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가 부활하면 전반적으로 투자 열기가 식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서울 강남권 재건축 사업이 속도를 내고 새 아파트 공급이 부족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집값 상승을 이상 과열로만 치부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대통령 탄핵으로 주춤했던 주택 거래가 새 정부 들어 경기 회복과 정치 불확실성 해소의 기대감으로 활발해지면서 집값이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어떤 규제 카드를 내놓을 지 안갯 속에 둘러쌓인 주택시장 분위기를 감안해 실수요인지 투자용인지를 구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현재 시장 상황이 좋더라도 집이 지어지면서 결국은 입주물량 규모에 영향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시장 자체가 낙관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수요자들은 서두르기보다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내 집 마련 수요자들은 부동산 경기 사이클보다는 본인의 재무적 상황 등 경제여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급한 마음에 과열된 시장에 섣불리 나서기 보다는 발표될 정부의 정책 내용과 규제 강도를 살피면서 내 집 마련이나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우리나라 실수요자 평균 거주기간이 11년 정도”라며 “내 집 마련 실수요자들은 이 기간동안 대출에 대한 부담이 없다면 집값이 오르고 내리는 것은 충분히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감정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