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하기좋은나라] 정책의지가 `꺼져가는 불씨` 살렸다
by이정훈 기자
2013.01.27 15:14:37
[뉴욕= 이정훈 특파원] 미국 미시건주 디트로이트 인근에 위치한 햄트래믹(Hamtramck) 제너럴 모터스(GM) 생산라인. 전기차 ‘볼트’와 오펠(OPEL) 브랜드로 수출되는 ‘볼트’의 유럽형 모델인 ‘암페라’를 비롯해 ‘쉐보레 말리부’와 ‘임팔라’를 생산하는 근로자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지난 2009년초까지 1600여명이 주로 준대형과 대형차인 ‘캐딜락’을 생산했던 이 공장은 그 해 6월 회사가 파산보호신청을 내면서 500명을 감원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주력 생산모델을 ‘볼트’로 바꿔 새로운 시장 수요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마른 수건까지 쥐어짜는 비용절감 노력을 하면서 4년전 해고했던 직원들을 모두 재고용하고도 2000명 정도를 더 뽑았다.
현재 이 공장은 지난 1985년 준공 후 26년만에 처음 3교대 근무까지 확대한 상태이지만 휘발유 값 상승과 전기차에 대한 구매 지원금 덕에 ‘볼트’가 불티나게 팔리면서 한 달에 2000대 정도를 생산하기도 벅찬 상태다.
| GM의 대표적인 생산기지 중 하나인 디트로이트 인근 햄트래믹 공장에서 여성근로자가 전기차 `볼트`를 조립하고 있다. |
|
전미자동차노조(UAW) GM 햄트래믹 공장지부의 돈 라포레스트 협상대표는 “눈물을 머금고 우리의 동료들을 해고하는데 동의했었는데, 불과 3년만에 이렇게 직원 수를 늘리고 라인을 완전 가동하게 된 것은 도무지 믿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의 얘기대로, 지금까지 GM이 보여준 부활 스토리는 놀라울 정도다. 파산 신청 후 6개월만인 지난 2010년 1분기 첫 흑자로 돌아선 GM은 올 3분기까지 내리 11분기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유럽시장에서 고전하면서도 미국시장 판매량에서는 1450만대로 전년대비 5%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며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냈다. 얼마 전에는 미국 재무부가 구제금융 자금을 지원한 뒤 보유하고 있는 지분 500만주를 앞으로 12~15개월 안에 사들이겠다며 완전한 민간기업으로서의 새 출발을 알렸다.
“미국 자동차산업은 확실하게 재기에 성공했다. GM의 부활은 미국 제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얼마 전 재선에 성공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디트로이트에서의 선거유세에서 이렇게 선언했다. 지난 2010년 이 공장을 찾아 첫 생산된 ‘볼트’를 시승하고, 그 해 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한 뒤 이명박 대통령을 디트로이트 인근 오리온공장까지 초대하는 등 GM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보였던 그였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크라이슬러에 125억달러를 지원한 뒤 “이는 단기적 처방일 뿐이며 미국 자동차산업은 조만간 사라질 것”이라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교수를 중심으로 비판 여론이 들끓었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GM에 500억달러의 공적자금을 쏟아 부었다. 당시 자금 지원이 이뤄졌던 부실자산 매입프로그램(TARP)도 애초 금융기관용으로 조성된 기금이어서 법적인 문제까지 있었다. 오바마 정부는 의회 반발까지 무릅쓰고 TARP 규정을 확대 해석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정치적 계산이 없었던 것은 아니겠지만 사실 광대한 땅에 자동차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한, 또 해외로의 생산기지 이전으로 제조업 기반이 붕괴되고 일자리가 급감한 미국에 자동차산업의 부활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게 오바마 대통령의 확고한 판단이었다.
| `포브스`지가 선정한 2000대 기업 가운데 업종별 기업수 분포를 보면 최근 제조업체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
|
자동차산업에 대한 지원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에너지정책법에 따라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를 구입할 때 연간 최대 4000달러의 세금을 감면해줬다. 3년도 안돼 미국에서만 5만대 이상 팔렸고 오는 2017년까지 GM 연간 생산량의 5.6%나 되는 50만대 생산목표를 가진 ‘볼트’는 이 같은 세제 지원에 따른 맞춤형 제품이었다.
또 지난 2009년 마련한 미국 경기부양법에 따라 신차 구입시 각 주(州)가 부과하는 소비세와 지방판매세를 공제해주는 혜택도 주어졌다. 오바마 대통령도 1만7000대에 이르는 관용차들도 모두 미국산으로만 구입하도록 지시했다.
이렇게 자동차산업이 회생 조짐을 보이자 미국 정부는 더욱 발 빠르게 제조업 살리기에 나섰다. 해외로 공장을 옮기고 현지에서 직원을 채용하는 제조업체들을 미국으로 데리고 오는 리쇼어링(Reshoring), 쉽게 말해 유턴정책이다. 미국으로 공장을 다시 옮기는 기업에 대해서는 이전비용의 20%까지 세액 공제해 법인세를 줄여주고 공장이 빠져나간 지역에 진출하는 제조업체에게는 금융지원도 확대해줬다. 대신 해외 진출기업에 주던 조세 감면 혜택은 거의 다 줄였다.
| 미국 국내총생산(GDP) 중 제조업 생산의 비중이 급격히 추락하다 최근 반등하고 있다. |
|
이 덕에 최근 2년간 공장을 옮긴 미국 제조업체들 가운데 무려 3분의 2가 중국이나 멕시코, 인도 등지에서 미국으로 다시 돌아왔다. 제너럴 일렉트릭(GE)은 중국 공장 한 곳을 없애고 6억달러를 투자해 폐쇄했던 켄터키 공장을 재가동했다.
NCR의 ATM 생산공장, 콜맨의 등산용품 공장, 슬릭오디오의 첨단 헤드폰 공장, 오티스의 엘리베이터 생산공장 등도 고향으로 다시 돌아왔다. 최근에는 포드자동차도 중국과 멕시코에 있는 생산라인을 3년내에 미시건과 오하이오주로 옮겨오겠다고 발표했다.
연방정부의 지원, 정부기관과 민간기업간의 파트너쉽을 통해 2011년 20곳, 작년 10곳 등 2년간 30곳에 구축한 혁신 클러스터 지원정책도 위력을 발휘했다. 일리노이주에 둥지를 튼 항공우주 클러스터와 뉴욕주 핑거레이크 일대의 식품가공 클러스터, 플로리다주의 클린에너지 클러스터 등이 성과를 내며 7200개의 신규 일자리와 300여개의 신사업을 만들어냈다.
제조업 유턴과 혁신 클러스터 정책을 주도했던 진 스펄링 백악관 국가경제회의 의장은 “미국 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제조업 부활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미국 땅에서 제조업 생산이 다시 늘어나게 만드는 산업정책이 먼저 부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의 구호는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지난 1953년 국내총생산(GDP)중 28.3%에 이르렀던 제조업의 몫은 2009년 사상 최저인 11.0%까지 내려갔지만 2011년에는 12.2%까지 올라섰다. 상무부는 작년말 이 비중이 13%까지 더 높아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