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윤종성 기자
2020.11.18 06:00:00
장벽의 문명사
데이비드 프라이|408쪽|민음사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 후 낡은 시대의 전유물 취급을 받던 장벽이 21세기 들어 다시 늘어나고 있다. 난민의 대량 유입, 테러, 전염병 등에 대한 두려움이 세계 곳곳에서 장벽을 치고 있는 것이다. 이른바 ‘제2의 장벽 시대’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03년 예멘과의 접경에 1100마일에 이르는 장벽 건설 작업에 착수했고, 이스라엘은 2002년 팔레스타인 봉기에 맞서 450마일 길이의 장벽을 건설했다. 요르단도 미국의 지원을 받아 시리아와의 국경에 287마일의 장벽을 쌓았다.
책은 ‘장벽’이라는 주제를 통해 수천 년간의 인류 문명사를 조망하고 있다. 4000여 년 전 시리아에 세워진 장벽에서 출발해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스, 중국, 로마, 몽골, 아프가니스탄, 중앙아메리카를 거쳐 오늘날 미국-멕시코 국경까지 거의 모든 장벽 이야기를 푼다. 이스턴코네티컷 주립대 역사학 교수이자 장벽 전문가인 저자는 장벽이 가진 ‘양면성’에 주목했다. 안전을 보장하는 ‘폐쇄성’과 교류를 촉진하는 ‘개방성’이 그것이다.
우리는 통념적으로 다리는 연결의 상징으로, 장벽은 단절의 상징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반대 사례가 부지기수다. 로마인들이 다리를 건설한 것은 강 건너편을 침공하기 위해서였고, 장벽을 단절된 여성의 처소 쯤으로 폄하했던 스파르타인들은 자유를 잃었던 것이 대표적이다. 저자는 “장벽이 없었다면 중국의 학자도, 바빌로니아의 수학자도, 그리스의 철학자도 없었을 것”이라며, 장벽을 문명의 원동력으로 봤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거대한 장벽이 부활하고 있는 요즘, 연결과 단절의 의미를 다시 한 번 곱씹어 보게 만드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