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한국판 '광군제'는 왜 쪽박인가

by박성의 기자
2017.11.15 06:02:00

中 광군제, 세계 쇼핑축제로 자리매김
같은 날 열린 국내 세일행사는 존재감 미미
보여주기식 할인행사의 한계...특별한 경험 줘야

[이데일리 박성의 기자]11초였다. 지난 11일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거래액 168억원을 기록하는데 걸린 시간이다. 알리바바 거래액은 3분 1초 만에 1조6800억원을 넘어섰다. 최종 거래액은 28조3078억원. 미국의 최대 쇼핑 이벤트인 블랙프라이데이와 사이버먼데이를 합친 것보다 더 큰 액수다. 광군제는 이렇게 세계 쇼핑사에 유례없는 기록을 새겼다.

씁쓸하다. 사촌이 땅을 사서 배가 아픈 게 아니다. 같은 날 앞 다퉈 ‘한국판 광군제’를 외치며 할인행사에 나선 국내 유통기업의 분투가 아쉬워서다. 11일 국내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일제히 동시세일에 나섰다. 할인율도 꽤 컸다. 최대 75%를 깎아줬다. 값을 내리니 실적도 좋아졌다. 11번가는 11일 하루 거래액이 지난해보다 37% 증가한 640억원을 넘어섰다. 그러나 거기까지다. 정작 국내 소비자는 광군제만을 기억할 뿐, 이커머스가 내건 쇼핑축제의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소비자들은 바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연중 내내 할인행사를 벌이는 국내 유통시장에서 그럴듯한 구호를 내건다고 ‘세일 축제’가 될 리 없다. 이커머스 기업들은 매년 세일 상품 구색을 확대하고 있다. 다만 특별하거나 새롭지 않다. 국내 이커머스가 최대 할인폭을 내건 상품 대부분이 1만원 내외의 생활용품들이다. 대단하지 않다. 더군다나 유사한 세일행사가 매달 열린다. 소비자에게 11월은 ‘조금 더 싸게’ 살 수 있는 달은 맞지만, 광군제처럼 모두가 기다리는 축제의 달은 아닌 셈이다.

광군제는 할인율 하나로 성공한 게 아니다. 알리바바는 전야제 행사를 열고 드론을 띄워 외딴 섬 주민에게 물품을 배송했다. 광군제 기간 알리바바의 물류 계열사 차이냐오는 물류창고에서 택배 물품을 분류하는 일을 사람 대신 자율주행 로봇에게 맡겼다. ‘쇼(show)’일 수 있다. 다만 광군제가 아니면 볼 수 없는 이벤트다. 축제를 열고 싶거든 이렇게 하라. 당장 올해 11월을 기억하게 해야 내년 11월을 기다릴 수 있다. ‘충격적이게’ 싸거나, 편하거나, 즐거운 경험을 소비자에게 던져줘라. ‘마케팅의 아버지’ 필립 코틀러 교수의 말에 답이 있다. “가장 좋은 광고는 만족한 고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