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기업 투자의 대가가 말하는 "옥석가리는 법"

by류성 기자
2020.08.20 06:32:11

바이오 100여곳 투자 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대표
"시장 환경과 경영진의 능력 검증"이 투자성패 좌우
LSK는 국내 대표적 제약바이오 전문 투자회사
1500억 자산, 초기 바이오 벤처에 집중 투자

[이데일리 류성 기자]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이제 막 도약을 시작하는 초창기 단계에 있다. 이는 이미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반도체, 조선, 철강등 기존 산업에 비해 성장 잠재력이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전체 세계 시장 점유율은 불과 1.5%에 그치고 있다. 앞으로 10년내 이 점유율은 최소 5%에서 많게는 10%를 넘어설 것이다.”

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대표. LSK인베스트먼트 제공
국내 대표적인 제약,바이오 전문 투자기업인 LSK인베스트먼트의 김명기(사진) 대표는 19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전망을 이같이 밝게 내다봤다. 김대표는 21조원 안팎인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규모도 10년내 100조원 정도로 커지면서 한국경제를 대표하는 신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확신했다. 그는 “이 기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가운데에서도 매출이 10조원을 넘어서는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는 기업이 최소 2~3곳은 등장할 것”으로 확신했다. 세계 제약바이오 시장규모는 1400조원 가량이다.

카이스트 생물공학 박사 출신인 김대표는 지난 20여년간 제약바이오 벤처 투자라는 한우물만 파왔다. 그동안 그가 투자한 바이오벤처 회사만 100여곳에 가깝다.이 회사는 지난 2016년 설립했다. 업계에서 김대표는 최고의 국내 제약바이오 투자의 대가로 손꼽힌다.

LSK인베스트먼트는 국내 제약 바이오 벤처들이 투자 자금을 유치하기를 가장 선호하는 투자회사로도 정평이 나있다. 시장에서는 LSK인베스트먼트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사실 자체가 회사의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이 회사가 운영하는 자산규모도 제약바이오 전문 투자회사 가운데 최대 규모인 1500억원에 달한다.

현재까지 40여 바이오 벤처들에 800억원 가량을 투자했다. 병원용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업체인 레몬 헬스케어, 신약 개발 전문회사인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 코로나 진단기기 등 의료기기 제조업체인 엠모니터, 동물용 진단기기 제조업체 핏펫 등이 이 회사가 투자한 대표적 헬스케어 벤처들이다.

“제약 바이오 산업이 성장하려면 3박자가 들어 맞아야 한다. 초창기 회사에 자금을 투자하는 투자사들, 주식을 상장해 자금을 조달할수 있는 주식시장, 다수의 유망 제약바이오기업들이 그것이다. 이 3가지 요소를 모두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미국, 중국, 한국 뿐이다. 그만큼 한국은 제약바이오 산업이 도약할수 있는 최고의 환경을 구비한 나라라고 보면된다.”



김대표는 이 세 나라 가운데에서도 한국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후발주자여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신약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미국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신약개발 등에 있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될성부른 바이오 기업을 초기에 발굴할수 있는 비법을 묻자 그는 “시장 환경과 사람을 보면 옥석을 구분할수 있다”고 조언했다. 바이오 벤처에 대한 투자여부를 결정할때 가장 먼저 그 회사가 개발하려는 신약이 얼마나 시장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경쟁 상황은 어떤지, 다국적 제약사들이 개발하고 있는 분야의 신약은 아닌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본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경영진과 개발진이 실제로 신약을 개발할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도 투자를 결정하는 주요 기준이다”면서 “특히 투자하려는 회사가 이전에 기술수출을 한 경험이 있으면 능력이 검증됐기 때문에 투자 리스크가 크게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이 기준을 통과해 투자한 바이오벤처에서 4~5년 후에 기대하는 수익률은 평균 10배다. 기업공개를 앞둔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는 2~3년 기간을 두고 3~4배의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 기업에 대한 투자금이 몰리면서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바이오 거품론’에 대해 김대표는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단계다”면서 “풍부한 유동성 덕분에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하고, 해외에서 고급인력도 유치할수 있게 되면서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내 제약 바이오산업은 투자자본이 몰리면서 산업이 선순환 구조로 접어들었다”면서 “이제 제약 바이오산업은 성장기에 진입한 상황이지 결코 버블 상태로 봐서는 안된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