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광명시흥지구의 ‘동상이몽’…진짜 복병은 따로 있었다
by황현규 기자
2021.03.02 06:30:00
3기신도시 발표 후 광명시흥지구 현장 방문
원주민 “그 보상금으로 어디 가란 소리냐”
개발 기대 투자자 “적지 않은 시세차익 누릴 듯”
금천 강씨 몰려사는 취락지구 설득이 관건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혼돈 그 자체다. 문의는 계속 오는데 똑 부러지게 대답해줄 수 없으니 기다리라는 말밖에 못 해주고 있다.”(시흥시 과림동 K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주민들 사이에서도 생각이 다 다르다. 오래전부터 살았던 원주민들과 생계 터를 잡은 상인들은 반발하는데, 투자자들은 쌍수들고 환영하고 있다.”(광명시 노온사동 주민)
광명시흥지구가 3기 신도시로 추가 지정면서 대상지 일대는 기대와 혼란이 공존했다. 토지 보상을 노리고 들어 온 투자자들에게는 호재지만, 이곳에서 생계를 이어온 원주민들은 “내 집 뺏기는 거냐”는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광명시흥 지구가 차질없이 추진될 시 집값 안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는 반면 이를 위해 토지보상 등이 차질없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6일 방문한 노온사동의 공인중개사사무소에는 광명 주민 세 명이 모여 3기 신도시 지정을 두고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이곳에서 12년동안 조명가게를 운영 중이라는 성모(56)씨는 “이곳을 싹 밀고 개발을 한다는 데, 다시 어딘가에 가서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부담감이 너무 크다”고 토로했다.
광명 노온사동은 화훼단지와 공장 등이 다닥다닥 붙어 었는 지역이다. 인근 취락지구(주택가)에 거주하면서 10년 넘게 생업을 이어오고 있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주민들은 2015년부터 택지 개발이 아닌 환지 방식의 개발을 요구 중이다. 환지 개발이란 일종의 지역 정비 사업인데 소규모 구역을 지정해 도로 등을 정비하고 기존 땅 크기대로 다시 토지를 재분배하는 방식이다. 대토 보상과 달리 기존 땅 자리에 정비된 땅을 받는 방식이다. 지역 이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 개발은 어렵다.
현재 광명시흥지구에는 전체(1271만㎡)의 13%(174만1000㎡)에 이르는 23개의 취락 지구(마을)가 있는데, 이 중 절반 이상의 마을이 환지 방식의 개발을 논의 중이었다. 취락 지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상업·공장·논밭 지역이다. 취락지구는 토지 비중으로는 크지 않지만, 실제 거주자들이 살고있는 유일한 지역이라 신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이들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곳에서 공장을 운영 중인 주민 정모(66)씨는 “2015년부터 환지 개발해달라는 주민들의 요구가 있었는데 이를 무시한 택지 개발 계획에 화난 주민들이 많다”며 “토지보상을 한다 해도 감정가보단 높겠지만 시세보다 낮은 것 아니냐. 생계 등의 기회비용도 무시 못한다”고 했다.
공인중개업계에 따르면 현재 이 지구의 농지 3.3㎡당 가격은 250만원, 나대지는 3.3㎡ 당 700만원으로 형성돼 있다. 하안동 K공인도 “개발 이익을 얼마나 인정해줄 것이냐가 관건”이라며 “토지보상을 조금이라도 더 받으려는 주민들과의 협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취락지구 중 가운데 가장 큰 복병으로 꼽히는 건 ‘종친’ 부지다. 광명시흥지구에는 금천 강씨가 취락지구(마을)를 형성해 거주 중이다. 이들이 모여사는 원노온산지구와 능촌지구는 약 15만㎡에 달한다. 노온사동 C공인은 “인근에는 관련 유적(영회원)이 있을 정도”라며 “2010년 보금자리지구 지정 당시에도 종친들의 반발이 매우 거셌다”고 말했다. 다른 D공인도 “이들은 단순히 보상금 논의로 해결하기엔 어려울 것”이라며 “관련 유적까지 세워놓은 판에 쉽게 동의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 26일 방문한 광명시 노오산동 일대 밭(토지). 이 구역은 최근 3기 신도시로 편입됐다. (사진=황현규 기자) |
|
다만 모든 토지 소유주들이 반대하는 건 아니다. 2015년 보금자리지구가 해제된 이후 유입된 투자자들은 토지 보상을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특히 예상보다 높은 토지보상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광명동 D공인은 “신도시 계획 발표가 난 뒤 얼마나 받을 수 있느냐는 문의가 많았는데, 대부분 투자자였다”며 “최근 광명 땅값이 크게 오르면서 투자자들이 몰려왔는데 이들은 내심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실제 최근 2~3년간 광명 역세권 개발을 활성화하면서 땅값이 크게 오른 탓에 그 전에 광명 부지를 사 둔 투자자들은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면적이 큰 데다가 최근 광명 땅값이 크게 오르면서 2010년 보금자리지구 발표 당시 8조 8000억원과 비교해 2조원 가까이 토지보상금액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명시흥지구의 토지보상금은 단일 사업 지구로는 역대 최대다.
전문가들도 원주민과 투자자들 간의 ‘동상이몽’을 빠르게 해결하는 게 광명시흥지구 개발 성공의 키라고 분석한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광명시흥에 7만5000가구가 들어서는 것은 일대의 집값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토지 수용을 최대한 빨리 진행하는 게 관건이다. 토지 수용이 느려질 수록 공급 기대 효과도 반감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함영진 직방빅데이터랩장은 “인근 가산·구로 산업 단지가 조성돼있고 여의도와도 가까워 수도권 거주자들의 선호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