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수출, 일자리 창출 효과 줄었지만 취업유발인원은 증가"

by성문재 기자
2014.09.10 11:00:01

수출구조 변화·공정 자동화로 수출의 고용 효과 ↓
수출 확대 힘입어 취업유발인원은 증가..연 600만
"중소기업 수출 확대, 소비재 수출률 제고 등 필요"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수출 단위당 일자리 창출 효과는 감소되었지만 지속적인 수출 확대로 수출의 취업유발인원 총수와 총취업자 중 수출에 의해 유발된 취업인원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0일 발표한 수출과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재화 및 서비스) 단위당 일자리 창출 능력(취업유발계수, 최종수요 10억 원이 유발한 직·간접 취업유발인원)은 지난 1990년 10억 원당 58.6명에서 2012년 7.7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수출 구조에서 노동집약적인 경공업 제품 비중이 축소한 반면 자본집약적인 중화학공업 제품이 늘어난데다 제조업 부문의 설비투자 확대와 공정 자동화, 해외생산 확대 등이 이뤄지면서 제조업 전반의 취업유발계수가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수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전체 일자리 창출에는 여전히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2013년간 평균 실질 수출증가율은 11.6%로 경제성장률(5.4%), 소비(4.7%), 투자(4.8%)를 크게 웃돌았다. 이에 따라 수출에 의한 취업유발인원수는 1990년 360만 명에서 2012년 600만 명으로 증가했고 총취업자수 대비 비중도 같은 기간 22.5%에서 25.9%로 확대됐다.



수출에 의한 취업유발인원 수가 증가했고 총취업자수 대비 비중도 확대됐다.
보고서는 향후 수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지속 확대되기 위해서는 내수 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와 수출률이 낮은 소비재 및 서비스의 수출산업화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통계청의 ‘광업-제조업 조사’에 따르면 2012년 중소기업의 고용계수(종사자수/부가가치액)는 10억 원당 9.9명으로 대기업(2.8명)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 내수 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에 따른 고용유발효과가 클 것이라고 무협은 내다봤다.

또 2012년 기준 소비재와 서비스의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당 13.7명과 18.0명으로 공산품 평균(8.5명)보다 현저히 높지만 수출률은 소비재(18.9%)와 서비스(6.7%) 모두 공산품 평균(39.1%)을 크게 밑돌고 있는 만큼 수출률을 높일 여지가 충분하며 이를 통해 취업유발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무협은 지적했다.

오세환 무협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내수에만 머물러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기업화 및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를 통한 소상공인의 해외판로 개척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문화 콘텐츠 및 의료 분야의 해외 진출 확대 등 서비스 수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