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규직→정규직…은행들 새 정부 눈 맞추기(종합)
by권소현 기자
2017.05.18 06:00:00
씨티은행 300명 무기직서 전환
기업銀 3000명 정규직 전환 추진
국민·기업銀 특성화고 대상 채용
우리·신한銀 등 창구직원 충원키로
[이데일리 권소현 김경은 기자]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국정 최우선과제로 내세우면서 금융권에서도 정부 정책에 보조를 맞추기 시작했다. 은행권은 이미 2007년부터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순차 전환했고 현재 비정규직은 대부분 변호사나 회계사, 운용역 등 전문직 위주여서 정규직 전환 이슈는 크지 않다. 하지만 처우에 차별이 있어 ‘중규직’이라고 불리는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창구직원 채용에 나서는 등 일자리창출과 관련해 정부에 화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년 연례적으로 실시해오는 채용인 경우도 있지만 대선 기간 일자리 창출이 화두였던 만큼 정부 정책에 부응하겠다는 의도가 반영돼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금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 은행권 정규직 비율은 95.2%, 비정규직 비율은 4.8%에 불과해 다른 업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규직 비중이 높았다. 정규직을 기준으로 보험과 신협이 나란히 94.1%, 자산운용·신탁이 90.3%, 증권·선물, 상호저축, 여신전문 등은 정규직 비중이 90%를 밑돌았다.
은행권 정규직 비율이 이처럼 높은 것은 2007년 이후 대부분 은행들이 2013년까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주요 은행별로 비정규직은 지난 3월말 기준 국민은행 1295명, 신한은행 781명, 우리은행 769명, 농협은행 2979명, KEB하나은행 520명, 기업은행 436명이다. 비정규직은 고액 연봉을 받는 전문직 직원이 대부분이고 명예퇴직 후 다시 채용된 직원, 성과에 따라 정규직 전환이 가능한 경력단절여성 등이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목소리는 크지 않다.
다만 무기계약직 이슈는 있다. 이들은 정년이 보장돼 있어 비정규직은 아니지만 정규직에 비해 업무범위나 복지, 급여에서 차별을 받는다. 이 역시 지난 2013년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에 합의해 어느 정도 정규직으로 전환한 상태지만 몇몇 은행에는 아직 남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자마자 인천공항공사를 찾아 ‘비정규직 제로’를 강조하자 은행권에서는 이러한 무기계약직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씨티은행은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 약 300여명의 무기 일반사무 전담직원과 전담 텔러를 정규직 5급으로 연내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매해 채용하는 정규직 행원 수의 20%에 해당하는 인원을 매년 정규직으로 전환해왔지만 올해에는 대승적 차원에서 정규직 전환을 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IBK기업은행도 준정규직(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작년에 이미 이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고 올 초 김도진 행장이 취임하면서 적극적으로 논의해보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현재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라며 “올해 안에 정규직 전환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기업은행의 준 정규직은 3055명이다. 농협은 올해 초 별정직 100명을 7급으로, 산전후대체직 4명을 별정직 금융업무직으로 전환해 총 104명에 대해 전환을 마쳤다.
은행권의 상반기 채용에도 관심이 쏠린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기업은행은 소위 ‘텔러’로 불리는 창구직 직원 공채에 나섰다. 지난 3월 가장 먼저 채용에 나선 국민은행은 이달 10일 70여명 가량의 합격자를 이미 발표했고 나머지 은행은 현재 채용을 진행 중이다. 우리은행이 100명가량 뽑을 예정이고 기업은행은 50여명, 신한은행은 00명으로 공고를 냈다.
은행권 창구직 인력 채용은 매년 상반기 실시해온데다 조기 대선 전에 시작한 것이지만, 당시에도 유력 후보로 꼽히던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던 만큼 새 정부를 의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은 특성화고 출신을 대상으로 채용을 진행해 ‘차별 없는 청년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에 부응했다는 평가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은행권 무기계약직은 정시 출퇴근이 가능하고 실적압박이 없어 오히려 더 정규직 전환을 기피하는 이들도 있다”며 “지금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보다는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청년실업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가 더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다만 하반기 정규직 공채 규모를 확대할지는 의문이다. 비대면 거래가 확산하면서 은행권은 지점과 인력을 줄이는 분위기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새 정부의 정책기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은행내 인력수요도 파악해봐야 하기 때문에 하반기 공채 규모나 계획을 아직 세우지는 않았다”며 “상황에 따라 채용규모가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