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선` 노웅래 "당 위기 상황…`총알받이` 될 각오"
by이성기 기자
2020.08.13 06:00:00
민주당 최고위원 후보 릴레이 인터뷰⑧
`인국공 사태` 등 민심 제대로 못 읽어
부동산 문제, 피해 최소화 보완책 마련 필요
차기 지도부 출범 후 당이 주도적 역할 해야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총알받이’‘방패막이’가 되려는 각오를 해야 한다. 전쟁 상황에서 솔선수범하는 다선(多選)의 역할이 중요하다.”
더불어민주당 8·29 전당대회(전대) 최고위원 도전장을 내민 노웅래(4선·서울 마포갑) 의원은 지난 11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몸을 사리기 보다 거센 파도와 바람에 맞서 이겨내야 한다”면서 여러 차례 당의 ‘위기’를 언급했다.
코로나19 비상 상황에서 ‘컨벤션 효과’(정치 이벤트 직후 지지율 상승 현상)는커녕 ‘깜깜이 전대’로 치러지는 데다, 당의 지지율은 하향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총선 후 3개월 지난 최근 여론조사에선 미래통합당과의 지지율 격차가 불과 0.5%포인트, 오차 범위 내까지 좁혀졌다. 선당후사 정신 강조, 당의 ‘간판’이 아닌 ‘갑판장’을 자처하는 이유다.
|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뱃머리에서 파도와 맞서고 배의 구멍은 온 몸으로 막는 `갑판장`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이영훈 기자) |
|
노 의원은 “‘인국공 사태’라 불린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정규직 전환 논란, 부동산 실정,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 사건 등에 있어 민심을 잘 못 읽은 측면이 있다”면서 “문재인정부를 향한 기대가 컸는데 고통과 좌절, 상실감이 크다 보니 그만큼 불만이 생길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부동산 문제의 경우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 심리적 요인까지 작용한 만큼, 연착륙 할 수 있도록 정책 신뢰 제고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노 의원은 “보완책 마련 등 가능한 한 피해 규모를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도 “언론이나 외부에서 부작용 위주로 ‘에스컬레이팅’(escalating, 확대·상승)해선 안 된다”고 경계했다.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방안 관련 당내 일부 이견에 대해서는 사전 소통 부족을 원인으로 꼽았다.
노 의원은 “중앙 정부 입장에선 예민한 시장과 보안 유지 측면에서 그럴 수 있다”면서도 “지역 주민들의 대표 입장에선 ‘한 방 맞은 것’처럼 된 탓에 이의제기를 한 것이지 정책 자체를 반대한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부산 시장 등 내년 재보선의 경우 당에서 후보를 내야 한다는 데 무게를 뒀다.
노 의원은 “상대는 칼을 들고 덤비는데 그냥 찔리고 말 게 아니라 몽둥이라도 들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민심과 당심을 두루 살펴 명분과 원칙에 입각해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차기 지도부 출범 이후 당청 관계에 있어서는 당이 주도적으로 국정 운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의원은 “레임덕 없는 정권 재창출을 위해선 국민에게 유능하고 강하면서도 안정감을 주는 게 중요하다”며 “욕을 먹어도 당이 먼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차기 대선도 치를 수 있다. 정국을 당이 중심이 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노 의원과의 일문일답이다.
-코로나19 비상에 폭우 피해까지 겹치면서 `이런 전당대회는 없었다`는 말이 나온다.
△언택트(비대면) 전대라는 전례 없는 일 생겼다. 컨벤션 효과는커녕 기본적으로 흥행 여지가 없는 `깜깜이 전대`라 할까 그런 상황이다.
어느 때보다 중요한 전대다. 지방 선거, 재보궐 선거도 치러야 해 당과 대한민국의 운명을 가를 수 있는 지도부를 선택해야 하는 엄중한 시기다. 그 중요성에 비해 당원과 소통은 어려운 상황이다.
-당 지지율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부동산 정책 영향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러 현안 관련 대응이 굼떴다. 소통 측면에서 국민 눈 높이에 못 맞춘 측면이 있다. 현장 중심으로 가야된다는 게 소통에서 국민 눈높이에 맞춰, 민심을 수용해 정책이나 입법에 관여해야 했는데 제대로 가동 안 된 탓이다.
실제 부동산 문제만 하더라도 젊은이들에게 상실감과 고통을 준 측면이 있다. 문재인정부 기대는 컸는데 실제 고통과 좌절, 상실감 크다 보니 기대만큼 불만 생길 수 있다.
참여정부 때 종합부동산세 적용 국민은 실제 1%도 안 되는데 모든 국민들이 피해를 보는 것처럼 심리적으로 작용한 것. 연착륙 하려면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를 주는 게 우선이다. 언론을 통해 외부에서 부작용 위주로 에스컬레이터 하면 안 된다.
경제·사회·문화적 부분과 심리적 요인까지 겹쳐 있다. 가능한 한 피해 생기는 규모를 최소화 하려는 노력, 보완책 등 만드는 게 필요하다.
-윤석열 검찰총장 관련, `정치 검찰` `철퇴` 등 발언을 했는데.
△검찰 권력 남용 어제 오늘 얘기 아니고 DJ, 참여정부 때도 국민들이 원했지만 검찰 반발로 못 한 것 아니냐. 이제 겨우 반쯤 온 것인데 기득권 반발하고 있지만 반드시 제대로 바로 잡도록 해야 한다.
본연의 업무와 관련해 문제를 얘기하면 모르지만 `독재` 운운하면서 정치적 논란으로 만드려는 것은 선을 넘은 것이다. 검찰 개혁이 필요하다는 반증이다.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설치나 검찰 개혁은 나중에 국민의 평가 받을 것이다. 역대 정권에서 못 한 것 반쯤 해 온 거고 확실하고 단호하게 마무리 해야 한다. 내년 대선 정국으로 넘어가기 전 새 지도부가 국민들에게 개혁 성과 얼마나 결과를 내느냐에 달려 있다.
-검찰 인사 관련 정치권 안팎이 굉장히 소란스럽다. 현 정부의 `검찰 개혁` 평가를 내린다면.
△연착륙 하는 과정이다. 자꾸 검찰의 독립이라는데 수사권의 독립은 있지만 엄연히 법무부 외청이다. 선출직 같으면 책임이라도 지지만, 더 큰 권한을 남용하면 안 된다. 검찰이 문제 본질을 잘못 보고 있는 것이다.
경찰의 반발은 수사권 조정이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1차적 수사권은 경찰이 갖도록 하는 것인데, `6대 범죄`에 금이 그어 진 것도 아니고 경찰 입장에선 바뀌는 게 없다 할 수 있다. 일부 특수 수사의 경우, 가령 반사회적 범죄나 정치인 관련 수사에 제한적 허용하는 등 원래 입법 취지대로 확실하게 살려나가야 한다.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두고 당내 일부에서 이견, 반발 목소리가 있다.
△서울시나 당내 일부 의원들이 지적한 것은 아무 얘기 없다가 정책이 나오니 당장 그 지역 주민들은 `국회의원 뽑아놓으니 그것도 모르나` 이런 문제제기에 적어도 설명할 수 있었어야 하는데 `한 방 맞은` 것처럼 된 탓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의를 제기한 것이지 정부 정책 자체를 반대한다고 보긴 어렵다.
중앙 정부 입장에서는 시장이 예민하고 보안 유지 측면에서 소통 못 했다 할 수 있지만 사전에 소통이 좀 필요하다.
-`다수결도 폭력`이라고 했는데 9월 정기국회 운영 방향은.
△`176석의 민심이 뭐냐`고 했을 때 야당에 끌려다니지 말고 발목 잡히지 말고 일을 하라는 거다. 무조건 대안 없이 반대할 경우 일로써 성과로써 보여줘야 할 의무가 있다. 소수의 물리적 폭력도 문제지만 모든 걸 다수결로 처리하는 게 맞느냐는 것인데, 토론이 제대로 안 된 다음에는 방법이 없는 것 아니냐.
개혁 입법이나 민생 법안, 미래 먹거리 법안, 행정 규제 해소 등은 야당의 반대에도 올해 처리 못하면 일 못한다. 야당의 협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려 노력해 보고 그래도 안 되면 해야 한다고 본다.
명분 있고 국민이 원하던 법, 60~70%의 지지를 받은 법은 처리해야 한다.
-내년 재보선 중요하다. 서울 부산에 후보를 내야 한다고 보나.
△민심과 당심을 두루 살펴서 명분 있게 원칙에 입각해 결정해야 한다고 본다. 칼 들고 덤비는데 그냥 찔리고 말 게 아니라 몽둥이라도 들어야지.
어떤 식으로든 당원이나 국민에게 물어보는 과정 거쳐야지만 규정 등에 맞게 방법을 찾아야 한다.
-당정청 관계에 있어 차기 지도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 있다면.
△청와대 참모진 인사는 민심이 나빠지고 지지율도 빠지고 하니 국면 전환이 필요, 일신한다는 의미의 일환이다. 새 지도부는 당정청 간 소통, 국민들에게 불안해 보이지 않는 정권, 안정감 있는 정권이 되도록 해야 한다. 느슨해진 국민과의 소통을 눈높이에 맞게 하고, 욕을 먹어도 당이 먹고 청와대 자꾸 볼 일이이 아니다. 모든 걸 안고서 욕을 먹어도 당이 먼저 , 당이 먼저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대선도 치를 수 있다. 정국을 당이 주도적으로 중심이 돼 이끌어 가야 한다.
-`선장`이 중간에 내려와서 되느냐는 의견은 어떻게 보나.
△불이 났는데 일단 불 먼저 꺼야 한다. 코로나 위기 극복에 모든 자원 활용해서 선제적으로 대응해 위기 극복 해야 하는데 총출동하는 게 맞다. 그런 측면에서 대선 후보도 뛰어들었다고 본다.
앞장 서려는 사람은 많지만 먼저 희생하고 양보 하려는 사람은 적다. 몸을 사리기 보다 당을 추스르고 바로 세로우려는 역할, 파도 치고 바람 불때 맞서 이겨내야 하는 게 갑판장이다.
위기 극복 못하는 데 무슨 대선이 있겠나. 내리냐 안 내리냐는 그 다음의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