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조용석 기자
2020.01.24 08:05:00
보수통합 논의…설 연휴 이후 더 치열해질 듯
난제는 ‘태극기 세력’ 포함…黃 ‘신중’, 劉 ‘강경’
한국당, 여러 보수세력과 통합 논의하며 주도권 ‘유지’
큰 중도보수 인물 가세해야 효과적 외연 확장 가능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4·15 총선을 80여일 남겨둔 야권이 보수통합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분주한 움직임과 달리 보수통합의 결과물이 ‘반문(반문재인)연대’로 부를 수 있을 만큼 넓을지 혹은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만 결합하는 이른바 ‘도로 새누리당’에 그칠 것인지는 여전히 가늠하기 쉽지 않다.
정치권에서는 설 연휴가 끝난 직후부터 야권의 보수통합 움직임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총선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보수통합에만 매달리긴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보수통합의 핵심인물 중 하나인 유승민 새보수당 의원은 보수통합의 시한을 다음 달 초로 잡기도 했다. 혁신통합추진위(혁통위) 역시 통합 신당 출범 예정일을 다음 달 15일로 설정했다. 다음 달 중순께가 보수통합 논의의 ‘마지노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보수통합은 박형준 동아대 교수가 위원장을 맡은 혁통위, 한국당과 새보수당이 당대당 통합을 위해 만든 양당 협의체 등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초 범보수 통합이 목적인 혁통위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으나, 새보수당이 한국당과 자신들만 참여하는 양당 협의체를 강력하게 요구하면서 ‘투트랙’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당·새보수당의 양당 협의체가 출연한 데는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큰 영향을 미쳤다. 범보수 연대를 형성해 지지층을 최대한 넓히길 바라는 한국당은 ‘중도보수’ 안 전 대표가 보수통합에 함께하길 기대했으나 안 전 대표는 귀국 직후 “관심없다”며 확실히 선을 그었다. 새보수당은 안 전 대표의 선 긋기 후 한국당에 ‘양당 협의체’를 수용할 것으로 최후통첩했고, 통합논의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놓인 한국당이 수용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양당 협의체에 대해서는 정치권 내에서도 해석이 다르다. 우선 새보수당이 통합과정에서 최대한 많은 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시각이 있다. 반면 이미 정당 형태를 갖춘 한국당과 새보수당이 먼저 실무적으로 통합논의를 진행하고, 혁통위에서는 중도보수 성향의 인사를 영입하는 등 보수통합 범위를 넓히는 작업을 각각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