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 베이징올림픽 불참…“적대 세력 책동 때문”

by김호준 기자
2022.01.07 08:13:28

노동신문 "중국 동지 사업 지지, 응원"
"올림픽 막아보려는 미국의 反중국 음모 책동"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북한이 다음 달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결국 참여하지 않는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북한의 올림픽위원회와 체육성이 중국 올림픽위원회와 올림픽 조직위원회, 국가체육총국 앞으로 편지를 보내 “올림픽에 불참하지만 중국을 지지한다”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27∼31일 제8기 제4차 전원회의를 이끌며 농촌문제를 비롯한 먹고 사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회의 도중 인상을 찌푸린 채 책상 위에 놓인 자료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참석자들을 질타하는 듯한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5일 리룡남 주중 대사를 통해 전달된 편지에서 북한은 “적대세력들의 책동과 세계적인 대유행전염병(코로나19) 상황으로 대회에 참가할 수 없게 됐다”면서도 “우리는 성대하고 훌륭한 올림픽 축제를 마련하려는 중국 동지들의 모든 사업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응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림픽의 성과적 개최를 막아보려는 미국과 추종세력들의 반중국 음모 책동이 더욱 악랄해지고 있다”라며 “우리는 이를 국제올림픽헌장의 정신에 대한 모독으로, 중국의 국제적 영상에 먹칠하려는 비열한 행위로 낙인하고 단호히 반대, 배격한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미국이 중국의 인권 문제 등을 명분으로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고 미국의 우방국들이 이에 동참하고 있는 것에 대한 비난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도쿄올림픽에 코로나19 사태를 이유로 불참했다. 이 때문에 북한 올림픽위원회(NOC)는 올림픽 헌장에 명시된 올림픽 정신을 준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IOC로부터 올해 말까지 참가 자격 정지를 당했다.

이로 인해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국가 차원의 참가는 불가능한 상태다.

자격 정지 기간이라도 선수들은 자국의 올림픽위 명의로 ‘개인적’인 참가가 가능하지만, 북한은 이번 편지에서 결국 올림픽에 어떤 선수도 파견하지 않을 방침을 밝혔다.

다만 북한이 올림픽에 ‘외교적 참가’를 할 가능성은 아직 배재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는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한 남북대화 재개는 어려울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아직 남북 모두 어떤 수준의 고위급 인사를 올림픽에 보낼지 등에 대해 확정하지 않았다.

북한은 “올림픽위원회와 체육성은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의 현명한 영도를 충직하게 받들어 중국의 체육기관들과 체육인들과의 친선적인 교류와 협조, 왕래를 보다 강화함으로써 전통적인 조중친선의 강화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