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정태선 기자
2016.01.17 10:00:23
4월부터 서울시 전 지하철역 인근 10미터 이내 금연
중구 세종대로변 양측 1.5km구간 금연거리 지정키로
[이데일리 정태선 한정선 기자] 걸어 다니면서 담배를 피우거나 흡연 욕구를 참다 지하철 역사에서 나오자마자 담배에 불을 붙이는 ‘애연가’들의 모습은 갈수록 보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4월부터 서울시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 10m이내에서 흡연 시 적발되면 과태료 10만원을 내야 한다. 간접흡연의 피해를 조금이나마 줄여 시민 건강권을 지키자는 취지에서 작년 서울시의회는 시의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서울특별시 간접흡연 피해방지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기존 서울시가 지정한 실외 금연구역은 금연광장 3개소(서울, 청계, 광화문), 시관리 도시공원 (22개소), 중앙차로 버스정류소(339개소)에 서울시 관할 구역의 347개 지하철역사 1662개소 출입구 주변 10m가 추가, 2000여 곳으로 확대된다.
서울시의 흡연단속 건수는 지난해 781건으로 전년대비 54.3%(506건) 늘어나는 등 계속해서 단속이 강화되는 추세다.
계도기간이 필요한 만큼 연초부터 서울시 각 구청들은 금연대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보다 한발 앞서 구조례안으로 지하철역 근처 흡연을 금지한 동작구는 작년 10월부터 3개월간의 계도 기간을 거쳐 올해초부터 본격적으로 노량진역, 사당역, 이수역 등 지하철역 주변에서 흡연단속에 나서고 있다. 집중 단속지역은 지하철역 주변 21곳으로 노량진역 1호선과 9호선 모든 출입구. 사당역 2호선 7, 8번 출입구 및 4호선 9, 10번 출입구, 이수역 4호선 13, 14번 출입구 및 7호선 7~12번 출입구 등이다. 동작구는 하루 평균 계도 20건 내외, 과태료도 3~4건 가량 부과하고 있다.
중구는 관내 공원, 버스정류장, 어린이집주변 등 금연구역 9026개소를 대상으로 연초부터 금연계도와 엄격한 흡연단속에 나서고 있다. 올해부터 흡연단속 인력을 대폭 늘려 현재 4명으로 구성된 단속반을 보건소 직원 2명과 금연지도원 14명으로 편성된 16명으로 확대한다. 오는 4월부터 중구에서만 금연구역으로 지하철출입구 주변 125개소와 세종대로변 양측 1.5km구간이 금연거리로 추가 지정되는 것에 대비한 것. 중구 관계자는 “금연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인근 직장인들이나 외국인들의 대규모 흡연으로 단속이 어려웠던 남대문로길 금연거리, 한빛공원 등 공공장소를 집중 단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흡연단속 민원이 많았던 구역을 집중 순찰코스로 정하고 4개 단속반을 가동한다. 취약 시간인 야간·휴일 흡연단속반도 별도로 운영할 계획이다.
상업지역이 밀집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은 이미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설정해 왔는데, 4월 금연지역 확대에 맞춰 단속 뿐 아니라 캠페인을 확대할 예정이다.
강남구는 이미 2012년 강남대로 일대(신논현역~강남역 12번 출구까지)와 코엑스 일대를, 2013년 대치동 학원가, 역삼역 출입구 8개소 주변 10m도 금연 구역으로 정했다. 이어 작년 3월에는 신논현역에서 우성아파트 사거리까지 금연지역을 확대했다. 서초구도 작년 4월부터 서초구내 전 지하철역 입구 10m 이내, 강남고속터미널 광장과 남부터미널 주변 일부 보도구간 등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 구 관할 버스정류장과 어린이집 등을 금연구역으로 정했다.
송파구는 매주 주말마다 펼치는 금연 캠페인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효인 송파구 보건소 건강증진과 금연관리 팀장은 “잠실야구장 3층 담벼락에 담배를 비벼서 끈 자국이 무수히 많았다가 작년 3월 금연관련 벽화 만들고 나서 흡연이 눈에 띄게 줄었다”면서 “자연스럽게 금연을 유도할 수 있는 캠페인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금연자들의 혐연권이 넓어지고 있지만 흡연자들은 점점 더 설 곳이 줄어들어 대책을 요구하는 불만의 목소리도 많다. 흡연이 불법도 아니고 정부가 담뱃값을 올려 세금을 더 걷어가는데 흡연권도 보장해달라는 얘기다. 서울시 전체 25개구 중에선 광진구, 중구 등 일부에서만 흡연부스를 운영하고 있다. 광진구 건대역 주변 흡연부스는 밀폐형으로 만들어 4월부터 시행하는 역주변 금연지역에 포함되지 않지만 개방형일 경우 논란의 소지가 있다. 나머지 구들 가운데 대부분은 주거지역이거나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 등으로 흡연부스 설치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