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주의보…멧돼지 포획·차단방역 강화
by이명철 기자
2021.02.26 06:00:00
야생멧돼지 1138건 발생…광역울타리 범위 벗어나
일제 포획·수색 실시…남쪽 양돈밀집지역 확산 대응
양돈농장 일부 방역 취약…오염원 유입 차단 총력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봄철 야생멧돼지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멧돼지 출산기를 맞아 개체수가 늘어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활동 반경이 넓어져 기존 방역 범위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집중 포획·수색을 통해 야생멧돼지 내 바이러스를 줄이고 사육돼지 발생을 막기 위해 차단 방역을 강화하고 잇다.
| 김현수(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5일 강원 춘천 야생멧돼지 차단 울타리 설치 현장을 찾아 방역 상황을 살피고 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
|
25일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24일 기준 야생멧돼지에서 발생한 ASF는 총 1138건이다. 강원 화천이 374건으로 가장 많고 경기 연천 352건, 경기 파주 98건, 강원 춘천 86건, 경기 포천 52건 등 순이다. 2019년 9월 처음 발생한 사육돼지는 이후 지난해 10월 2건을 마지막으로 추가 확진이 없는 상태다.
정부는 ASF의 숙주인 야생멧돼지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집중 포획을 실시했다. 2019년 10월 ㎢당 6마리 수준이던 야생멧돼지 개체수는 1년만에 4.1마리 수준으로 줄였다.
하지만 야생멧돼지 ASF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위험도는 높은 상황이다. 특히 야생멧돼지 이동 차단을 위해 설치한 광역울타리 밖인 강원 영월(9건)과 춘천(1건)에서 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나타나기도 했다.
중수본은 봄철인 4~5월 멧돼지 출산기로 개체수가 급증하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활동반경이 넓어지는데다 곤충·야생동물 등 매체게 활동도 활발해짐에 따라 ASF 바이러스가 현재 발생지점에서 양돈농장이 밀집한 남쪽으로 유입 우려가 커졌다고 판단했다.
대책에 따르면 3~4월에는 야생멧돼지 일제포획기간을 운영한다. 야생멧돼지 서식밀도(㎢당)는 기존 발생지역의 경우 1.4마리에서 1마리, 사전예방지역은 4.1마리에서 3.0마리로 줄일 계획이다. 내달 1~7일에는 멧돼지 폐사체 일제 수색기간을 운영해 오염원을 제거하고 서식지 환경검사와 소독을 실시한다.
야생멧돼지 차단 울타리 설치는 다양화한다. 1·2차 울타리로 발생지점을 설치하는 한편 고속도로 등 구조물을 활용한 차단망을 구축해 남서쪽 이동을 막는다. 전국 주요 양돈밀집단지 주변에도 차단 울타리를 설치한다.
양돈농장도 차단방역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감은 남아 있다. 박영범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접경지역 외 양돈농장은 소독·방역시설이 미흡한 농가가 존재하고 일부는 축산차량이 농장에 출입하는 등 방역상 취약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소독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농장 후문 이용, 봄철 영농기 경작활동 병행 등 방역상 취약요인 보완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중수본은 사람·차량·매개체로 오염원이 농장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선제 차단방역을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농장의 방역시설을 신속히 보완토록 하고 다음달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지자체가 농장 방역시설 합동 점검한다. ASF 위험지역 내 어미돼지(모돈)는 출하 전 전수 검사, 비육돈 구분을 실시하고 경작활동을 병행하는 양돈농장은 소독을 강화한다.
전국 양돈농장 대상으로는 매주 수요일 ‘쥐·해충 제거의 날’을 운영하고 문자·리플렛 배포 등을 통해 방역수칙을 안내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 대상으로 15개국으로 번역한 안내문을 제작하는 등 홍보·교육 활동도 강화한다.
ASF 중수본부장인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강원도 춘천을 찾아 방역 상황을 점검하고 봄철 야생멧돼지 일제 포획 등 차질 없는 방역 대책 추진을 주문했다.
김 장관은 “야생멧돼지 ASF의 전국적 확산 가능성에 대비해 전국 양돈농장은 모두 새로운 위기 국면이라는 각오로 차단방역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봄철 영농작업과 매개체 활동 증가로 오염원 유입 위험이 없도록 울타리·소독시설 등을 신속 점검·보완하고 매일 농장 곳곳을 철저히 소독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