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빙하 속 '기후변화' 비밀 들여다보는 극지연구소[파도타기]
by권효중 기자
2024.03.09 09:30:00
극지연구소, 남극 3500m 빙하 레이더탐사 성공
과거 지구 기후 기록 확인…향후 해수면 예측도
''심부빙하'' 연구 위한 K-루트 개척도 진행중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남극 바다의 빙하는 지구의 역사가 기록된 ‘사료’로 불린다. 두께가 수천 미터에 달하는 ‘심부빙하’를 밖으로 꺼내 기후변화 등 현재 지구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기 위해 극지연구소는 오늘도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 빙하 레이더 탐사 연구팀과 K-루트 탐사대의 모습 (사진=극지연구소 제공) |
|
해양수산부 산하의 극지연구소는 한국이 주도해 개발한 레이더 기술로 남극 3500m 두께의 빙하 탐사에 성공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두께가 3000m 이상의 빙하라면 최소 150만년 전에 생성돼 당시의 대기 정보가 담겨 있어서 기후변화 연구의 핵심 자료로 여겨진다.
극지연구소의 이주한 박사 연구팀은 2018년부터 이러한 빙하 탐사를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레이더 기술을 연구해왔다. 레이더를 사용하면 빙하층은 물론, 빙하 아래 남극 대륙의 구조 등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다. 이번 첫 레이더 탐사가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심부빙하’ 연구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심부빙하는 최소 1000m 이상 깊이에 존재하는 빙하로, 심부빙하를 시추하기 위해서는 10년 이상의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목표로 하는 후보 지역을 정확히 선정하기 위한 ‘레이더 탐사’가 필수적인 이유다. 극지연구소는 앞으로 3년간 추가 탐사를 진행해 본격적인 심부빙하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한국이 빙하 연구를 비롯, 남극에 진출한 것은 1988년부터의 일이다. 1988년 남극 세종과학기지 이후 2019년에는 첫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가 만들어졌고, 이를 기반으로 2014년에는 두 번째 남극기지인 장보고 과학기지가 세워졌다. 해안가가 아닌 내륙에 위치한 기지의 위치를 바탕으로 빙하를 포함, 남극의 운석과 천문 등 환경에 대한 연구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향후 연구의 핵심이 되는 것은 한국이 남극 내륙에서의 연구, 보급을 위해 개척하고 있는 육상 루트인 ‘K-루트’다. K-루트는 장보고 기지를 기반으로 한국만의 독자적인 내륙 진출을 꾀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 1월까지 총 2215㎞까지 개척이 완료됐고, 심부빙하는 물론, 빙하 아래가 녹으면서 만들어진 호수인 ‘빙저호’ 등 기후와 지구 환경 연구에 필수적인 뒷받침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외에도 장보고 기지는 빙하를 들여다보며 기후의 비밀을 꾸준히 들여다보고 있다. 지난 2018년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빙붕이 녹은 후 붕괴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고, 미국·영국과 함께 ‘스웨이츠 빙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녹아가는 빙하에 따른 해수면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기도 했다. 또 지난해에는 세계에서 네번째로 두꺼운 빙붕 시추 기록을 세우는 등 과거 기록을 살펴보는 것은 물론 향후 해수면 상승 예측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주한 극지연구소 미래기술센터장은 “남극의 빙하는 지구에서 옛날 기후가 가장 촘촘하게 기록된 지구의 사료”라며 “레이더 탐사를 계기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여정을 순조롭게 출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