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스마트항만으로 부산 일자리 타격…속도조절 필요”
by최훈길 기자
2020.12.01 05:00:00
[인터뷰]부산항운노조 김명렬 쟁의1부 부장
“스마트항만은 4차 산업혁명, 도입 반대 입장 아냐”
“2022년 대량실직 우려, 일자리 문제부터 해결해야”
“스트래들 캐리어로 운전사 골병, 장비 문제도 봐야”
[부산=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김명렬 부산항운노동조합 쟁의1부 부장은 문재인정부의 스마트항만 추진과 관련해 “부산의 일자리가 줄어 실직 우려가 크다”며 “시기·속도조절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 김명렬 부산항운노동조합 쟁의1부 부장. 이데일리 DB |
|
김명렬 부장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4차 산업혁명 추세, 안전하고 더 나은 근무환경 등을 고려할 때 스마트항만 도입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며 “노조의 입장은 정부가 일자리 감소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스마트항만은 하역·이송·보관·반출의 항만운영 전 단계를 무인 자동화로 하는 차세대 항만이다. 현재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중국 양산항·청도항·상해항, 싱가포르 투아스항에 항만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됐다. 우리나라는 부산항 신항, 인천항에 유인·자동화를 결합한 ‘반자동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인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 뉴딜 중 하나로 스마트항만 도입을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 광양항에 스마트항만 시범단지(테스트베드)를 검토해 2026년 구축을 완료하고, 현재 건설 중인 진해신항(부산항 제2신항)에 2030년부터 본격 도입하는 로드맵이다.
이에 김 부장은 “현재 항만에 500명이 일하고 있다면 향후 스마트항만이 도입되면 200명 정도로 일자리가 반토막이 될 우려가 크다”며 “스마트항만으로 전환하려면 현재와 동일한 작업, 동일한 근로조건이 선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김 부장은 차기정부가 출범하는 첫해인 2022년부터 항만 일자리 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자성대 부두가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에 따라 2022년에 폐쇄된다. 자성대 부두 인력 676명의 실직이 우려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항만을 부산항 신항에 도입하면 일자리 감소가 불가피하다. 일단 자성대 부두 인력을 신항으로 연착륙시킨 뒤 자동화 논의를 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스마트항만에 도입하려는 스트래들 캐리어 장비에 대해서도 안전 우려를 제기했다. 스트래들 캐리어는 항만 야드에서 기동성 있게 컨테이너를 옮기는 신형 하역장비로 운전석이 지상에서 10m가량 높게 설치돼 있다.
김 부장은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가 도입된 신항 5부두는 매립에 따른 침하 현상으로 항만 야드에 굴곡이 심하다”며 “운전 시 덜컹 거릴 수밖에 없어 운전 기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이 심하다. 90명 중 30명이나 병원에 가서 진단서를 뗄 정도”라고 전했다.
김 부장은 “문재인정부가 노사정협의체를 구성해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고 있고 근로자들에 대해 더 많이 고려하고 있다는 점도 알고 있다”며 “스마트항만 도입에 따른 근무 환경, 일자리 변화에 대해 현장의 우려를 더 세심하게 살펴달라”고 당부했다.
| 부산항 신항 5부두에서 운용 중인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모습. 양쪽으로 다리를 벌리고 있다는 의미의 ‘스트래들’ 단어 뜻처럼 컨테이너를 사이에 끼우고 운반하는 하역 장비다. 비엔씨티 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