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박철근 기자
2016.07.25 07:00:00
저수조·수로·코크 등서 물 오염 가능성 낮춰
지난해 전체 정수기 시장 18%…2017년 32% 차지 전망
동양매직 시장 선도…코웨이·LG전자·쿠쿠전자 등 추격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직수형 정수기가 정수기 시장의 새로운 대세로 부상하고 있다. 물탱크가 있는 저수형 정수기보다 물이 오염될 우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이용가격, 좁은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다는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2014년 10만대 이하였던 국내 직수형 정수기 시장은 지난해 28만대에 이어 올해는 4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내년에는 55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수기 시장이 한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성장이 정체되는 반면 직수형 정수기 시장은 매년 10만대 이상씩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전체 정수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8.3%에서 2017년에는 32.7%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직수형 정수기의 괄목할 만한 성장은 저수형 정수기에 비해 물의 오염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는 소비자 기대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수기에서 물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곳은 저수조, 수로, 코크(물 배출구) 등 세 곳”이라며 “저수조가 없고 수로와 코크 등에 대한 살균 기능 등이 더해지면서 직수형 정수기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초기 직수형 정수기 제품은 정수 기능만 제공했다”며 “지난해부터 정수기의 핵심 기능인 냉·온수 기능뿐만 아니라 직수형 얼음 정수기 등도 선보이면서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저수조가 없어 크기가 작아 설치 편의성이 높고 렌털 비용도 저수형 제품에 비해 저렴한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