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성 대형산불 '레드라인'…산림청 예방부터 대응·복구까지 통합관리
by박진환 기자
2017.08.25 06:00:00
1998년부터 35건의 대형산불로 3만3000㏊ 산림 초토화
이상기후 고온·건조현상에 강풍까지…대형·재난성 확대
산림청, 산불예방·대응위해 가용가능한 정책수단 총동원
2025년까지 초대형 및 야간진화 등 헬기 60대까지 확충
첨단기술 동원 산불예방·대응·복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지난 5월 강원 강릉과 삼척에서 발생한 산불이 건조한 날씨에 강풍을 타고 재난성 대형산불로 확산되고 있다. 이 산불은 4일간 산림 1017㏊와 주택 36채, 이재민 81명을 발생시킨 지 4일 만에 진화됐다. 사진=산림청 제공 |
|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2000년 4월에 발생한 동해안산불은 강원도 강릉시 등 5개 시·군에 걸쳐 산림 2만 4000㏊를 잿더미로 만들었다. 이는 여의도 면적(290㏊)의 83배, 축구장(7140㎡) 3만 3000여개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같은 끔찍한 재앙이 잊히기도 전인 2005년 강원 양양·속초 일원에서 발생한 양양산불은 산림 973㏊와 함께 천년고찰 낙산사 등 주요 문화재를 삼켰다. 올해에도 지난 5월 강원 강릉과 삼척에서 발생한 산불은 건조한 날씨에 강풍을 타고 재난성 대형산불로 확산되면서 4일간 산림 1017㏊와 주택 36채, 이재민 81명을 발생시킨 지 4일 만에 겨우 진화됐지만 아직도 복구가 진행 중이다.
산불방지대책사업이 시작된 1998년부터 올해까지 전국적으로 35건의 대형산불(피해면적 100㏊ 이상)이 발생해 모두 3만 3144㏊의 산림이 초토화됐다.
특히 4월(23건, 66%)과 3월(10건, 33%)에 대형산불이 집중됐으며, 올해의 경우 최초로 강원 강릉·삼척에서 5월 대형산불이 발생했다.
인명과 재산, 산림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재난성산불도 2000년 이후 5건이 발생해 전국 12개 지역에서 2만 9238㏊의 산림이 사라졌다.
문제는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고온·건조현상이 해마다 반복되면서 산불이 대형·재난성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천년고찰 낙산사를 불태운 2005년 양양산불에서도 최대풍속 32m/s의 강풍이 덮치는 등 건조한 날씨에 강풍이 결합하면서 산불을 확산시키고, 진화를 막는 요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최근 봄철(1월 1일~5월 10일) 건조일수도 최근 10년간 평균 74일에서 지난해 84일, 올해 93일로 길어지고 있는 반면 누적강수량은 최근 10년간 244㎜에서 올해 150㎜로 크게 줄었다.
여기에 등산·휴양 등 산림을 찾는 방문객들이 늘고 있어 전국에 동시다발적인 대형산불 발생 우려가 높아지면서 강력한 산불방지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2003년 3월 충북 진천 일원에서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산림청 소속 진화헬기(기종 KA32)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
|
산림청은 대형·재난성 산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고, 대응체계 및 진화역량을 강화해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정책목표를 밝혔다. 우리의 소중한 자원이자 생명의 근원인 산림을 지키고,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산림청은 가용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진화헬기 확충 △전문인력 확충 및 훈련강화 △예방·대응 인프라 확충 △산불상황 신속전파 체계 구축 △조직강화 및 법·제도 개선 등 5대 추진전략 및 과제를 설정, 올해부터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산불진화 헬기 등 대대적인 장비확충에 나선다.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형·재난성 산불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문 진화헬기 및 야간진화가 가능한 대형헬기 도입이 시급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산불진화를 위해 현재 운용 중인 헬기는 초대형 3대, 대형 30대, 소형 12대 등 모두 45대다. 이를 2025년까지 초대형 4대, 대형 43대, 중형 9대, 소형 4대 등 모두 60대까지 늘린다는 것이 산림청 복안이다. 야간산불 진화가 가능한 헬기도 도입해 내년부터 2025년까지 모두 20대 이상을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소방과 군·경찰, 지자체 등 유관기관간 헬기에 대한 신속 동원 및 공조·지휘체계 확립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다.
| 1996년 4월 강원 고성에서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산림청 소속 산불진화헬기가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
|
산림청은 대형산불 취약지역인 강원도 동해안과 경북 동해안 등 2곳에 ‘동해안 산불방지센터’ 2개소를 설치하고, 지역별 산불발생 위험도에 따른 산불진화헬기·장비·감시인력 등 대응자원의 탄력적 재배치 및 관리시스템 구축할 계획이다.
야간·도시·대형산불 대응을 위해 전국 17개 시·도 및 32개 산림청 소속기관에 98개팀(1개팀 10명)의 산불특수진화대를 배치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현재 1만 110명으로 구성된 산불예방진화대를 앞으로 1만 5000명까지 확대 운영하는 등 산림인접지역 및 산림 내 인화물질 제거 확대로 산불 원인의 사전 차단 사업도 추진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첨단기술을 적용한 산불 예방·대비·대응·진화 체계를 구축한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의 기능 개선 및 고도화, 체계적 운영을 정착하는 한편 3차원 산불확산예측모델과 연계를 통한 대응기술의 고도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 80%대인 산불예보 알림기능 및 정확도를 9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국방부, 문화재청, 경찰청, 지자체 등 산불상황 유관기관간 정보 공유 및 대피알림 시스템도 체계화된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산불 발화원인 규명 및 가해자 검거 지원을 위한 ‘산불전문조사·감식반’을 확대 운영하는 한편 대형산불의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 강화된 기준의 조림 및 숲가꾸기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산불피해지역의 복구조림도 추가 피해예방을 위해 단순 소나무림 조림을 지양하고, 내화수림대 조성을 병행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