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 우려높은 수도권 아파트, 1년새 10배 늘어

by박종오 기자
2013.11.03 11:19:35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서울·수도권에서 전셋값이 집값의 80%를 넘는 아파트가 1년 사이 10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아파트는 전세금을 떼이는 ‘깡통전세’가 될 가능성이 커 집주인의 대출 부실이 세입자에게 옮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서울·수도권에서 전셋값 대비 매매가격 비율(전세가율)이 80% 이상인 아파트는 23만890가구로, 지난해 말(2만3450가구)보다 10배 늘어났다.



지역별로 서울이 작년 말 1975가구에서 현재 2만1405가구로 11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체 서울 아파트(126만4674가구)의 1.7% 수준이다. 경기지역도 2만1475가구에서 20만5439가구로 급증했다. 전체 아파트(202만3375가구) 열 채 중 한 채 꼴이다. 작년 말까지 전세가율 80% 이상인 아파트가 한 채도 없었던 인천도 현재 4046가구에 이른다. 주택시장 침체 속에 전셋값만 고공행진한 때문이다.

한편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65.9%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의 전세가율은 60.1%를 찍어 2002년 8월(60.7%) 이후 11년 2개월 만에 다시 60%대에 올라섰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는 깡통전세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한다. 현재 법원 경매에서 서울·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은 82.11%다. 이 때문에 전세보증금이 후순위일 경우 전세금의 일부를 떼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