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 식약처]약사들이 '공동생동' 존속에 반발하는 까닭③

by류성 기자
2020.05.15 05:33:07

김대업 대한약사회 회장 인터뷰
"공동생동 존속은 제약육성정책 10년전 회귀 의미"
김회장 "공동생동은 제네릭 난립 및 리베이트 주범"
넘쳐나는 제네릭으로 환자가 약국서 못사는 약 넘쳐나

[이데일리 류성 기자] “수십개 제약사가 1개 의약품 위탁제조사에 맡겨 생산한 의약품은 약효나 성분이 99.9%가 아니라 100% 똑같을 수 밖에 없다. 그런데도 제약사마다 자체 브랜드를 붙여 서로 다른 약처럼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다. 당연히 우리 국민은 똑같은 약을 완전히 다른 약으로 알고 구매한다. ”

김대업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달 규제개혁위원회가 식약처가 추진해온 ‘공동생동’의 폐지정책을 철회하라고 권고를 내린 것은 “국민은 물론 제약산업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될 패착”이라고 우려했다. 공동생동은 제약사 수십곳이 개발비를 분담하고 1개 대표 제약사가 생물학적 동등성 실험을 거쳐 복제약을 개발해 허가를 받으면 각자 판권을 확보하는 제도다. 공동위탁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의 줄임말이다. 식약처는 지난 1년간 공동생동의 단계적 폐지를 통해 신약개발 업체를 중심으로 한 제약업계 재편을 추진해왔으나 이번 규개위 권고로 이 정책을 사실상 폐기했다.

공동생동으로 허가를 받아 판매되고 있는 제네릭 종류는 1품목당 적게는 5개에서 많게는 20여개에 이르는 상황이다. 요컨대 1개의 동일한 의약품이 제약사별로 서로 다른 브랜드로 5~20여개 종류로 판매되고 있는 셈이다. 전체 의약품에서 공동생동으로 허가받아 판매되는 비중은 절반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추산된다.

김 회장은 “제네릭 의약품의 약효나 성분이 서로 똑같다 보니 병·의원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다보면 결국 가격을 강조할 수밖에 없다. 제네릭 중심 제약사들이 병·의원을 대상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불법적 관행이 끊이지 않는 것도 이같은 배경이 있다”고 했다.



김 회장은 공동생동이 부활하면서 제약정책이 과거 10년 전으로 회귀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제약강국으로 가려면 신약개발에 집중하는 제약사들이 성장할수 있도록 정부정책이 집중돼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제약사의 신약개발 의지를 저하시키고 제네릭 양산을 부추기는 공동생동 폐지가 가장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1년 넘게 공동생동 폐지정책을 추진하다 이번에 규제개혁위원회가 정책의 폐지를 권고하자 그대로 수용한 식약처의 행보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1년 넘게 제약업계와 소통을 통해 공동생동의 단계적 폐지를 하자는 방향으로 식약처가 정책을 확정했으면 규제개혁위원회를 끝까지 설득해서라도 밀고 나가는 것이 맞다”면서 “하루 아침에 식약처가 추진하던 핵심 정책이 180도 바뀌게 되면 앞으로 관련업계는 식약처를 어떻게 신뢰하고 따를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대업 대한약사회 회장. 김태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