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익빈 부익부' 저축은행…덩치 클수록 '짭짤'
by노희준 기자
2016.12.08 06:21:12
자산 1조원 넘는 저축銀 공격적 영업
업권 총자산 비중 일년새 12%p ↑
소형 저축銀 총자산 9.3%p ↓
"경쟁 심화로 부실화 우려" 경고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저축은행이 꾸준한 실적개선으로 2011년 대규모 부실사태 트라우마를 털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양극화도 심화하는 모습이다. 자산 1조원 이상의 대형 저축은행과 5000억원 미만의 소형 저축은행 간 성장성과 수익성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저축은행의 본질에서 벗어난 대형 저축은행의 ‘몸집 불리기’에 대한 우려와 함께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소형 저축은행의 부실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7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대형 저축은행의 총자산이 전체 업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5%로 전년동기 41%에 비해 12.3%포인트 불어났다. 반면 소형 저축은행의 자산 비중은 같은 기간 30.3%에서 21%로 9.3%포인트 줄었다. 순이익 비중도 대형 저축은행은 39.7%로 3.5%포인트 커졌지만, 소형 저축은행은 24.6%로 5.7%포인트 감소했다. 저축은행수도 대형은 14개로 4개 늘어난 반면 53개였던 소형 저축은행 수는 47개로 줄었다.
이는 대형 저축은행의 공격적인 영업 전략 때문이다. 이들이 대출에 적극 나서면서 9월 말 기준 대형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전년동기대비 57% 늘었지만 소형 저축은행 총자산은 16% 줄었다. 특히 일부 대형 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 증가세가 눈에 띈다. OK저축은행은 올해 9월 말 2361억원의 소액대출에 나서 전년동기대비 3.2배로 불어났다. 웰컴저축은행의 소액신용대출도 2316억원으로 1.38배로 증가했다.
문제는 저축은행의 양극화 속에서 소형 저축은행의 부실화 가능성이 제기된다는 점이다. 저금리 상황에서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대형·소형 할 것 없이 하락추세지만, 소형 저축은행의 상대적인 악화가 더 심하기 때문이다. 실제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순이자마진은 대형 저축은행이 7.66%로 지난해 같은 기간 8.17%에 비해 0.51%포인트 하락했지만, 소형 저축은행은 5.02%를 기록, 5.61%에서 0.59%포인트 떨어졌다.
서정식 예보 저축은행관리부 팀장은 “수익성은 모두 악화됐지만, 소형 저축은행의 하락폭이 더 크다”며 “법정최고금리 인하,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 및 은행의 중금리대출시장 진출에 따른 업종 간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한 소형저축은행의 부실화 우려는 여전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현 상태가 2011년 저축은행 부실사태와 유사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시 PF대출을 매개로 대형 저축은행이 공격적인 영업행태에 나서면서 양극화가 심해졌고 결국 부실로 이어졌다.
이민환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는 “은행권 풍선효과 속에 저축은행이 가계대출에서 공격적인 영업을 한 결과”라며 “금리상승기에는 2금융권이 신용 리스크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저축은행 자산팽창 결과가 과거와 같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리상승의 여파는 저축은행 주요 고객인 저신용자, 저소득자에게 더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금융연구원 분석 결과 저축은행 전체 개인 대출자 가운데 80%가 7~8등급이고 대출 당시 연소득이 2000만원 이하인 저소득층도 40%로 가장 많다. 저축은행 대출자들은 이미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부담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상승기에 한계 차주로 전락할 가능성이 더 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말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10.92%로 은행 3.29%보다 7.63%포인트 더 높다.
몸집 불리기에 나서는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지역밀착의 서민금융기관으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할 시점이 됐다는 지적도 있다. 이규복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는 저축은행을 은행과 차별화되는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으로 키워보자는 것”이라며 “하지만 대형 저축은행이 복수의 영업구역과 비대면 채널을 통해 계속해서 대형화하는 것은 당초 정부가 제시한 저축은행 모습은 아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