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칼럼]‘뒷것’ 김민기의 어린이극을 위하여
by이윤정 기자
2024.06.11 06:15:00
[정재숙 전 문화재청장] 자주 드나드는 단톡방 이름이 ‘멍 캠’이다. ‘멍때리는 캠프’ 쯤으로 알았는데 ‘멍석 깔아주기 캠페인’의 줄임말이었다. 친구 몇이 좋아하는 시와 그림, 음악을 올리며 눈으로 이야기를 나누는데 구성원이 동년배인지라 공감 지수가 높다. 이 단체 대화방에 근래 자주 등장한 곡이 김민기의 ‘아침이슬’이다. 세상에 나온 지 53년이 흐른 이 노래는 되풀이해 들어도 질리지 않는다.
‘아침이슬’을 불러낸 계기는 달포 전에 한 방송사에서 내보낸 다큐 3부작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였다. 김민기 대표가 운영하던 서울 대학로 ‘소극장 학전’이 김 대표의 건강 문제와 경영난으로 33년 역사를 뒤로하고 문을 닫게 되자 이를 계기로 학전을 키우고 지켜온 김민기 선생의 삶을 들여다본 기록물이었다. ‘배우는 못자리’ 학전(學田)을 만들고 대표작 ‘지하철 1호선’ 제작으로 한국문화예술계를 이끌어갈 인재들을 큰 소리 안 내고 길러온 그가 처음 조명된 자리다. 1980년대 각종 시위 현장에서 애국가처럼 불렸던 ‘아침이슬’의 작곡가 김민기의 전모를 주변인들의 증언으로 엮은 이 영상물에서 ‘뒷것’은 하나의 화두가 되었다.
앞것이 아니고 왜 뒷것인가. 뒷것은 뒤 광대라는 뜻이다. 무대 앞에서 조명을 받는 배우나 가수가 아니라 뒤에서 제작에 필요한 갖은 치다꺼리를 도맡는 스태프를 이름이다. 화려한 앞에 비해 뒤는 초라하다 해도 뒤 없이는 앞도 없다. 누구나 앞이 되고 싶어 하지만 사실 대부분은 뒤에 처하게 되는 것이 인간사다. 뒤를 자임하는 이는 드물어서 뒷것은 더 귀하다.
김민기 선생은 스스로 뒷것으로 물러나 앉아 많은 이를 구했다. 그와 함께 농사지으며 도움받은 사람들, 공장에서 노동하며 위로받은 사람들, 야학에서 꿈꾸게 된 사람들이 뒤에서 밀어주는 그이 덕에 야만의 시절을 헤쳐 나왔다. 그는 광산에서 광부로 살고, 김 양식장에서 잡부로 일하고, ‘한살림 운동본부’ 초대 사무국장을 지냈다. 그 모든 일이 뒤에서 이뤄졌다. ‘한살림 선언’을 내놓은 그의 스승 장일순(1928~1994) 선생이 늘 하던 말씀, ‘낮추고 아래로 기어라’는 뜻의 ‘개문류하(開門流下)’를 줄기차게 실천한 이가 바로 김민기이다. ‘낮추고 아래로’를 그는 ‘뒤’로 받았던 셈이다.
‘학전’은 문을 닫았으나 반가운 소식도 들린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이 공간을 새로 단장한 뒤 7월부터 어린이와 청소년극 무대로 활용해 김민기 선생이 품었던 뜻을 잇겠다고 했다. 대국민 온라인 투표로 공모한 옛 학전의 새 문패 최종후보로 ‘아르코 꿈밭극장’ ‘아르코 못자리’ ‘아르코 그래극장’이 뽑혔다니 학전의 정신이 잘 이어지겠다는 희망도 생긴다.
김민기 선생은 2007년 독일 ‘바이마르 괴테 메달’을 받았을 때부터 이미 어린이와 청소년극에 대한 계획을 내비쳤다. 독문학자 서항석, 작곡가 윤이상,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에 이은 네 번째 메달 수상자로서 그는 한국의 미래를 위한 문화 바탕으로 어린이극을 얘기했다. 그는 한창 잘나가던 ‘지하철 1호선’ 공연을 멈추고 어린이극을 무대에 올렸다. ‘아빠 얼굴 예쁘네요’ ‘고추장떡볶이’ ‘우리는 친구다’ ‘슈퍼맨처럼~’은 ‘우리 모두의 미래는 어린이라고 생각한다’는 자신의 신념을 표현한 작품이다.
김민기의 ‘어린이극 우선론’의 뼈대는 간명하다. 우리나라에는 아이들과 청소년이 볼 연극이 없다는 것이다. 감수성이 한창 예민한 시절에 본 연극 한 편이 일생 얼마나 큰 구실을 하는지 한국 문화계는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어린이극이라 하면 주로 환상을 품게 하거나 무조건 웃기는 식이 많았는데 그건 아니라면서 아이들은 오히려 자신들이 겪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극을 원한다고 했다. 독일에서는 공연을 보러온 어린이 관객의 티켓을 극단이 주 정부에 가져가면 관람료의 세 배쯤 되는 돈을 후원해 장기 공연을 보장해 준다면서 이 분야에 관심 없는 우리 문화정책에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뒷것 김민기의 오랜 꿈이 어린이극 전용 극장으로 거듭날 새 학전에서 피어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