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칼럼]자격증 하나의 힘

by송길호 기자
2023.11.21 06:15:00

이우영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얼마 전, 1년에 한두 번 가깝게 지내던 지인들과 저녁 모임을 했다. 60이 넘은 우리 또래들이 만나면 늘 마누라와 아이들 눈치 보기, 결혼을 안 하거나 취업이 늦어져 마음고생 중인 자식 걱정, 새롭게 시작하는 제2 인생 얘기 그리고 마지막에는 정치 이야기로 끝나곤 한다.

그런데 그날따라 나는 평소와 달리 귀가 번쩍이는 말을 들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늘 모임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던 친구로 은퇴 이후 코로나 시기와 겹쳐 제2의 인생 이모작을 마련하지 못해 안절부절못하던 녀석이었다. 삼식이 소리에 민감하고 큰 아이는 공부에 둘째는 취업 때문에 부모로서 늘 걱정이던 그였는데 그날따라 목소리도 커지고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이끌었기 때문이다.

그의 얘기는 이렇다. 작년 늦가을부터 삼식이 소리 듣지 않으려고 동네 주민센터에서 진행하는 요리 교육과정에 참여했다고 한다. 6~7명 정도 수강생이 있었는데 다행히 남자가 자신뿐이 아니고 나이도 비슷해 마음 편하게 수강할 수 있었다고 한다. 수업 시간에 만든 음식을 집에서 부인도 맛있게 먹자, 자신감이 붙어 더 많은 강의를 듣게 됐고 마침내 지난 6월 한식 조리사 자격증을 취득했다고 자랑을 한 것이다.

그런데 내가 놀란 것은 난 30년을 넘게 자격증, 인력양성, 직업훈련은 ‘취업’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난 적이 없었는데 이 친구에게 자격증은 취업보다 부인의 삼식이 소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그리고 아이들에게 ‘뭐 먹고 싶어’라고 큰소리를 칠 수 있는 ‘면허증’(?)이 됐다는 사실이다. 자격증 하나가 그의 인생 이모작의 전환점을 만들어 준 것이다. 다음에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하고 더 많은 요리 관련 자격을 취득하면 동네에 ‘삼식이 반찬 가게’ 하나를 내겠다고 너스레를 떠는 그 친구의 모습에 보는 나도 도전할까라는 마음이 생겼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발행한 ‘2022년 국가기술자격 수험자 기초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시험응시의 가장 큰 목적은 취업(40.1%)으로 여전히 제일 높다. 하지만 취업 이외에도 자기 계발(24.0%), 업무능력 향상(12.7%), 승진 등과 같이 다른 이유로 응시하는 비율도 지난 5년간 꾸준히 늘고 있다. 응시자 10명 중 3~4명은 취미나 자기 능력을 인정받으려는 동기가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필기시험 응시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30대가 54.4%로 가장 많지만, 고령화 추세와 함께 50대 이상의 응시자도 15.8%로 매년 늘고 있다. 예를 들어 한식 조리사 기능사 시험의 경우 50대 이상이 26.9%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고 자격증 취득자의 취업률이 낮아진 것도 아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기능사 자격증의 취업률은 60%를 상회하고 있고 취업을 유일한 목적으로 하는 과정 평가형 자격 취업률과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자격은 누군가에게는 취업 가능성(employability)을 높일 수도 있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미래의 꿈을 꾸게 만들어 주기도 하고, 사라진 자신감과 자존감을 높여 주는 ‘잠재적 역량(capability)’을 선사한다. 그리고 당장은 아니어도 언젠가는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역량을 키워줘 ‘삶을 의미 있고 풍요롭게 하는 힘의 원천’이 될 수 있다. 그런데 필자는 지금까지 직업훈련, 자격, 교육의 목적을 취업 하나로만 바라보았다. 그 친구가 아니었으면 나는 자격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에 무지했을 것이다.

최근 필자가 몸담게 된 기관이 국가기술자격 시험관리 부실로 국민에게 많은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이는 감독 부실의 책임도 크지만 어쩌면 자신의 삶을 윤택하게 하려는 국민의 노력에 성의 있게 대응하지 못한 책임이 더 크다 할 것이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신임 이사장으로서 정수리에서 바닥까지 닳도록 희생한다는 ‘마정방종’(摩頂放踵)의 각오로, 국가기술자격 및 전 국민 인적자원개발 서비스에 최선을 다할 것을 이 글을 통해 약속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