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교원단체·돌봄사 아이들 볼모로 잇속 차리나

by신중섭 기자
2020.11.06 03:44:48

6일 전국 돌봄전담사 6000명 파업
교원단체 "대체 인력 투입 않겠다"
`잇속 챙기기`로 학생·학부모만 피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개학이 2주일 더 연기된 지난 3월17일 서울의 한 초등학교 긴급돌봄 교실이 텅 비어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돌봄노동자 파업은 집단 이기주의가 아닙니다. 상반기 내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고도 그 무엇도 할 수 없는 노동자들의 절규입니다.”

5일 돌봄전담사들의 파업을 하루 앞두고 열린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에선 이러한 호소가 이어졌다. 올해 갑작스러운 코로나 확산으로 등교가 중단되고 돌봄비상이 걸렸을 때 책임감 하나로 돌봄공백을 메워준 전담사들의 노고가 떠올랐다. 학부모들의 마음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학부모들도 `아이들을 볼모로 삼은 파업이 아니다`라는 이들의 주장은 납득할 수 없는 모양이다. 적잖은 학부모들이 코로나 상황으로 가정마다 돌봄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돌봄전담사들의 파업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그들의 요구사항인 `돌봄업무의 지방자치단체 이관 철회`와 `전일제 근무 전환`이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애꿎은 아이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불만이다.



돌봄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학교 교사들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교원 단체들은 현행법상 위법이라며 대체 근무를 거부하고 있다. 교사들은 돌봄업무의 지자체 이관을 지지하는 만큼 상반된 주장을 펴는 돌봄전담사들의 파업에 힘을 보태고 싶지 않은 모양새다.

양 측의 `잇속 챙기기`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과 학부모들에게 돌아가게 됐다. 맞벌이 부모들이 아이 맡길 곳을 걱정하는 모습은 마치 코로나 사태로 등교가 연기·중단됐던 때를 떠올리게 한다. 코로나가 다소 안정화되면서 이제야 돌봄공백이 해소되나 싶었던 학부모들은 마른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기분이다.

돌봄전담사들은 “향후 2차 파업은 하루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계 내부에서도 이들의 요구사항에 대한 찬반이 갈리고 있다. 이해관계자들이 줄다리기 하는 동안 `인천 라면형제 사건`과 같은 돌봄 사각지대의 비극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이번 사태의 중심엔 아이들이 있다는 점을 가슴에 새기고 머리를 맞대는 모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