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순용 기자
2024.04.20 08:31:00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몸의 기둥이라고 불리는 척추는 정면에서 봤을 때는 직선 모양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직립보행을 위해 S자 모양을 하고 있다.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26개의 척추뼈들이 일정한 정렬로 뼈 위에 다른 뼈가 쌓여 있는데 여러 원인으로 인해 아래 척추뼈에 비해 위쪽 척추뼈가 앞으로 튀어나와 정렬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한다.
노화로 인해 척추 관절이 비대해지거나 간격이 좁아지는 등 퇴행성 변화인 경우, 복부 비만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선천적 구조 이상인 경우, 소아청소년기에 무리한 힘이 척추에 가해진 경우, 외상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으나 흔히 허리 아래쪽에서 많이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걷거나 자세를 변화시킬 때 허리 및 엉덩이에 통증이 발생하며 다리가 저리거나 당길 수 있다. 심한 경우 자주 다리에 쥐가 나며 다리가 차다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어긋난 척추로 인해 신경 압박을 받게 되면 보행 시 통증이 더 심해지며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감소 되다가 허리를 펴거나 움직일 때 통증이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대동병원 척추센터 정동문 소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이름 그대로 풀어 말하면 척추가 앞쪽으로(전방) 위치가 변형되어(전위) 아픈 질환으로 다른 척추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개인이 판단하기 어려운데 나이가 들어서 혹은 무리해서 허리가 아프다고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라며 “방치할 경우 신체 보상 작용으로 후관절이 두꺼워져 척추관협착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평소와 달리 척추에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신경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엑스레이 검사로 척추뼈의 구조와 밀려난 정도 등을 확인해 진단을 하며 신경 압박 상태나 척추관 협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T 및 MRI 검사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초기에는 통증 완화 및 척추 안정화를 위해 침상 안정,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진행하며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생활 습관을 교정과 과체중이라면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평소 척추전방전위증을 비롯해 척추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쪼그려 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허리를 숙여 올리는 등 허리에 부담을 주는 자세는 교정하도록 하며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는 비만이나 흡연은 금하는 것이 좋다. 칼슘, 비타민D 등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을 챙겨 먹으며 근력 강화를 위해 주 3회 이상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실시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