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nd SRE][Issue]"외면받는 BBB급에 ETF를"

by김인경 기자
2021.11.18 06:44:19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올해 크레딧 시장엔 A급의 약진이 돋보였다. 하지만 온기는 어디까지나 A+급까지의 이야기다. A0나 A-는 물론, BBB+급은 여전히 수요 부진에 허덕였다. 하지만 크레딧시장도 할 말은 있다. 담으려 해도 담을 수 없는 상황이란 이유에서다.

펀드매니저를 경험했던 SRE 자문위원은 “운용역 입장에선 공모주하이일드 펀드를 운용하기 위해 일정 비율 비우량 회사채를 담아야 하지만, 이랜드 등 정말 안 망할 것 같은 서너 종목만 돌려가며 담는 식이었다”라고 회상했다.

다른 자문위원 역시 “최근엔 P-CBO가 비우량 회사채 전담기구가 돼버리면서 비우량 회사채를 시장에서 매매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자는 목소리조차 나오지 않는 분위기”라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들어 BBB급에 대한 디폴트 우려도 가라앉은 만큼, 비우량 회사채를 상장지수펀드(ETF)로 하는 아이디어가 국내에서도 도입돼야 한다고 제안한다.

현재 국내 ETF 대다수는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고 있다. 채권형 ETF가 있다고 해도 그나마 국공채가 대다수다. 회사채 ETF 2개 종목이 있지만 AA급 이상의 우량채만 담고 있다. 국내 비우량 회사채를 담는 ETF는 커녕 펀드도 드물다.

반면 해외의 경우 5년 이하의 하이일드 회사채에 투자하는 ‘아이셰어즈 하이일드 회사채’를 비롯해 수익률이 높은 비우량 회사채를 담은 ETF가 대중적으로 거래되고 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시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아이셰어즈 아이복스 하이일드 코퍼레이트 본드 ETF’와 ‘SPDR블룸버그 바클레이즈 하이일드 본드’ ETF를 매입해 시장 유동성 공급에 나서기도 했다.



국내에서 BBB급 회사채가 발행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공모 회사채 방식이 아닌 사모채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 마저도 신용보증기금(신보)이나 기술보증기금(기보)가 보증하는 프라이머리 채권 담보부증권(P-CBO)방식으로 옷을 새로 입는다.

P-CBO는 수많은 비우량채권을 하나로 구조화한 후, 공적 기관이 보증을 하는 방식이다. 개별 회사의 회사채를 구조화시킨데다, 국가기관이 보증을 해주다보니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를 줄이고 신용등급을 끌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이마저도 시장에서 외면받는 경우가 대다수다. 실제 기보는 P-CBO를 대중화하기 위해 11월 첫 수요예측에 나섰지만 단 한 기관도 주문을 넣지 않아 전량(670억원) 미매각이 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P-CBO 같은 비우량 회사채 구조화 상품의 ETF가 출연해 기업들에 적정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동시에 BBB급 채권의 외연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처음부터 민간자금이 대규모로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통로를 열어둬야 서서히 시장이 넓어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평가사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해외의 경우, 투자등급 (BBB-) 이하 기업에 담보를 받고 자금을 빌려주는 시니어론 펀드가 있다. 여기서 무디스와 피치 등 해외 신용평가사들이 투기등급 기업들의 등급을 매겨 이를 시니어론 펀드로 조성한다. 하지만 국내 신평사들은 500여개 남짓 공모채를 발행하는 회사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중소·중견기업으로 외연을 넓히지 못하고 있다.

SRE 자문위원은 “크레딧 시장이 외연을 넓히는데 보수적이면 결국 시장 자체가 고사할 수밖에 없다”면서 “제도적 정비를 통해 크레딧 시장의 확대를 고려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