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대란 해법 '상생형 지역일자리'…"7곳서 2만개 창출"

by김소연 기자
2020.11.13 05:05:00

[이데일리가 만났습니다]김용기 일자리위 부위원장
밀양형·횡성형 일자리 성과 확인…전기차 출시도
직접 일자리 9800개 창출…투자금액만 2조9천억원
대규모 풍력단지 개발 신안형 일자리 추진중

[대담=이데일리 김정민 경제부장, 정리=김소연 기자] “현재 전국 각지에서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이 20개 이상 진행 중입니다. (노사민정이 모여) 이런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새로운 투자와 고용이 창출되고 있습니다.”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3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일자리위원회에서 가진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을 위한 노력이 전국 각지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일자리위원회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각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는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총괄하는 사령탑 역할을 맡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지자체는 과거에는 중앙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만을 생각하고 산업정책·지역 정책을 펼쳐왔다”며 “그러나 현재는 이를 뛰어 넘어 지자체가 지역 내 업종·인적 특성·기업 등을 고려해 지역에 맞는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자리위원회는 전국 지자체별 릴레이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지자체 일자리 현황과 일자리 창출 방안 등을 큰 틀에서 고민하고 있다”며 “상생형 지역 일자리은 전통적인 일자리 창출 방식에서 벗어남으로서 예전 같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투자와 고용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월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7곳이 협약을 체결했다. 광주·부산·경남 밀양·대구·경북 구미·강원 횡성·전북 군산이다. 일자리위원회는 7개 지역에서 체결한 협약으로 직접 고용 일자리는 9840명, 간접 고용까지 합하면 최소 2만여명의 새로 일자리를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들 지역 상생형 일자리에 투자금액만 2조9000억원에 달한다.

김 부위원장은 “현재 신안형 일자리를 추진 중이다. 전남 신안에 풍력산업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풍력단지를 개발해 국내 산업을 키우고자 한다”며 “현재는 풍력 발전기 부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해 부품을 국산화해 나가기 위해 노력 중이다.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할 수 있으면 풍력산업 생태계 자체가 커진다. 풍력산업을 키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은 노사민정이 협약을 체결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보니 지역마다 우여곡절을 겪었다. 아직까지 씨를 뿌리고 뿌리를 튼튼하게 하는 과정이 진행 중이라는 게 김 부위원장의 설명이다. 코로나19 여파는 지역 일자리 사업에도 영향을 미쳐 예상보다 사업 진행이 늦어지는 곳도 있다.

김 부위원장은 “일자리위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지역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고생하고 있다”며 “정부가 규제도 개선해야 하고, 기업에서 움직여야 하는 일도 있다. 단순하게 노사상생, 양보와 타협을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게 아니다. 기업과 지역사회가 새로운 경쟁력을 찾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일자리위원회 제공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제2차 상생형 지역 일자리 심의위원회를 열어 강원 횡성형 일자리와 경남 밀양형 일자리를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선정했다.

김 부위원장은 “초소형 전기 화물차를 생산하는 강원 횡성형 일자리 사업은 이미 신차가 출시됐다”며 “오는 26일 해외 판매를 계약하고 수출을 예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전기차는 중국 제품을 가지고 조립하거나 중국차를 한국에 가져와 파는 경우가 많은데 횡성형 일자리는 국내 부품업체에서 대부분 부품을 조달해 소형 전기차를 만든다. 국산화율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밀양형 일자리는 뿌리산업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역 주민과의 상생이 중요하다. 김 부위원장은 “밀양형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기초가 되는 제품에 경쟁력을 가지는 뿌리산업단지를 만드는 일자리사업으로 지역주민과 상생 모델”이라며 “한국에서 뿌리산업 공장을 증설할 부지를 찾아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산업에는 공해 저감장치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뿌리산업 단지가 부산에 있어 공장 증설 장소를 찾지 못했다. 이에 밀양에서는 이전보다 넓은 공장 부지를 통해 산업단지를 건설하고 공해 저감장치를 설치하도록 했다. 공해 발생을 우려해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에게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공장 사례를 제시해 설득했다”고 전했다.

김 부위원장은 “주민 수용성이 뿌리산업의 핵심 경쟁력”이라며 “산업단지에서 창출하는 이익의 일정 부분을 지역 주민에게 환원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일자리위원회는 지역 상생형 일자리외에도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천·대구·광주·전남·경북 5개 지역을 거점으로 국내 제조업 산업 단지 간 연계를 통해 산업 혁신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민간의 혁신과 신산업 육성을 통해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고용한파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4월을 저점으로 고용률이 회복하다 코로나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9월에 다시 고용률이 하락했다”고 아쉬워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어 “코로나19로 노동시장 취약계층이 특히 충격을 많이 받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다른나라와 비교하면 고용율이 그나마 선방하고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산업이 확산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배터리, 반도체 등이 호조를 보인다면 내년 초반에는 고용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