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논설 위원
2017.09.25 06:00:00
프랑스에 이어 오스트리아도 ‘안전 문제’를 이유로 평창 동계올림픽 불참 가능성을 내비쳤다. 북한의 연이은 핵·미사일 도발로 인해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면서 국제사회가 한국의 안보 상황을 불안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안전한 올림픽’에 대한 불신이 전 세계로 확산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카를 슈토스 오스트리아 올림픽위원장은 지난 22일 “상황이 나빠지고 선수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평창올림픽에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에는 프랑스의 로라 프레셀 스포츠 장관이 “북핵으로 안전을 확신할 수 없는 한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독일도 안전 문제를 거론하려는 분위기라고 한다. 올림픽 강국들이 잇달아 북핵 위협을 들어 불참 의사를 내비치고 있는 것이다.
다만 프레셀 장관이 파리를 방문 중인 노태강 문체부 제2차관에게 “프랑스 공식 입장은 평창올림픽 참가”라고 밝힌 것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북한이 언제 또 다시 도발을 저지를지 모르는 상황이다. 안전을 자신할 수 없는 현실이 달라지는 건 아닌 것이다. 우리가 아무리 ‘평화올림픽’을 강조해도 세계 여러 나라의 우려와 불안감은 수그러들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장을 만나 “평창올림픽에 북한이 참여하게 된다면 안전은 더 보장될 것”이라고 말한 데서도 이러한 고민이 엿보인다.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남북 공동응원단 구성을 제안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제는 문 대통령의 생각을 충분히 이해할 수는 있지만 북한의 태도로 미뤄 현실적인 해법이 못 된다는 점이다.
현재로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막을 뾰족한 방법이 없는 게 사실이다. 올림픽 기간 중 도발을 자행하는 최악의 상황에도 대비해야 한다. 세계인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려면 어떠한 돌발 사태에도 완벽하게 대비하고 있다는 믿음을 줄 필요가 있다. 북한의 선택에만 기대어 안전을 도모할 일이 아니다. 범정부 차원의 대테러 대책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북한 도발과 무관하게 ‘올림픽 안전’을 보장한다는 의지와 능력을 세계에 보여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