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다리 힘 빠지고, 발음 어눌해지면? '뇌경색 경고'

by이순용 기자
2024.05.31 07:15:14

영구적 장애나 사망 위험 줄이려면 ‘허혈성 반음영’ 회복 관건
정맥혈전용해제 4.5시간, 동맥혈전제거술 24시간 안에 시행되어야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뇌졸중은 암이나 심장질환과 더불어 중년 이후 불현듯 찾아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다. 크게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도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면서 수 시간 내에 뇌세포의 괴사가 시작되는데, 뇌경색 치료의 핵심 부위인 ‘허혈성 반음영 부위’의 혈류 재개통을 놓치게 되면 영구적 장애나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이일형 교수의 도움말로 허혈성 뇌경색의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 팔다리 힘 빠지고 발음 어눌, 보행 이상 증상 보여

허혈성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고령 등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증이다. 또 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으로 심장에서 발생한 혈전이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발생하기도 한다.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IRA 빅데이터 개방포털/진료코드 I63 뇌경색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뇌경색 환자는 51만9,533명으로 나타났으며, 80대 이상에서 5년 전인 2018년 대비 남자는 32%, 여자는 19.3% 증가 폭을 나타내고 있다.

허혈성 뇌경색은 막히는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르지만, 흔히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거나, ▷말을 못 하거나, 발음이 어눌해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하거나, ▷심한 어지럼증을 느끼거나, ▷걸을 때 술에 취한 사람처럼 휘청거리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거나 ▷한쪽 시야가 잘 안 보이거나 둘로 보이는 경우들이 있다. 심하면 의식이 저하되어 회복이 안 되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정맥혈전용해제 4.5시간, 동맥혈전제거술 24시간 이내 시행해야

허혈성 뇌경색 급성기에 혈전 및 색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게 되면, 초기에는 아직 괴사하기 전인, 허혈성 반음영이 생기게 된다. 허혈성 반음영 부위는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그 중심부터, 세포 괴사를 동반하는 뇌경색으로 바뀌게 된다. 초기 허혈성 반음영의 치료가 중요한 이유이다.

뇌경색은 증상 발생 후 4.5시간 이내에 정맥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혈류를 재개통시키면, 뇌세포 기능의 회복과 뇌경색의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큰 동맥이 막힌 경우, 24시간 이내에 동맥내혈전제거술을 하게 되면, 아직 괴사되지 않은 허혈성반음영에 대해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를 통해서, 중심의 뇌경색 병변을 최소화하고, 주변의 허혈성반음영 부위를 최대한 살리는 것이 급성기 치료의 주된 목적이다. 다만, 이 치료들은 출혈 가능성 등을 고려한 여러 금기사항도 존재하므로, 치료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해당 의료진들의 면밀한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붉은색 부위- 손상된 뇌경색 중심부, ▷파란 빗금 부위 - 뇌경색 중심부 포함 뇌허혈 부위. △노란색 부위 - 급성기 치료의 중심 허혈성 반음영 부위.


◇ 자신과 주변의 신체 변화 주의 깊게 살펴야

뇌 및 뇌혈관의 영상 검사와 치료법의 발전, 여러 촬영기법과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허혈성 반음영에 대한 좀 더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살리기 위한 치료법의 발달과 안정성이 증명되고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일형 교수는 “증상 정도나 막힌 혈관 부위에 따라 혈관의 혈전을 녹이거나 끄집어내는 치료를 할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는 줄어들고 뇌출혈 등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병원에 내원해서 진료받아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뇌 손상이 이미 진행되었다면, 현대 의학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그 의미는 퇴색되고 만다. 이일형 교수는 “몇 시간의 차이가 남은 삶의 차이를 만들 수도 있다.”라며 “따라서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신체 변화에 대해 항상 자각하고 깨어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