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법 못찾는` 쌍용차, 파산으로 치닫나

by김보리 기자
2009.06.28 12:00:28

공장 진입 수포..사측 "더이상 꺼낼 카드 없다"
총파업 장기화로 파산가능성 높아져

[이데일리 김보리기자] 쌍용자동차 사측이 지난 26일 평택공장에 진입한지 이틀 만인 27일 밤 공장에서 철수하면서 노사간 유혈사태는 일단락됐다. 
 
하지만 노사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고 생산중단 사태는 지속될 전망이어서 쌍용차 회생은 극도로 불투명해지고 있다.
 

 
쌍용차(003620) 노사간 32시간 동안의 격렬한 대치상황은 부상자가 속출하면서 사측의 평택공장 철수로 일단락됐다.
 
특히 사측의 최종안마저 노조가 거부하면서 내부적으로 이번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단계는 물건너간 것 아니나며 결국 공권력 투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관측도 업계 일각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사측은 지난 26일 정리해고자 976명 중 320명에게 분사 및 영업직 전환 형식의 일자리 제공, 450명에게 협력사와 연계한 재취업 기회 부여, 200명에게 무급휴직 및 우선 재고용을 약속하는 안을 내놓았다.
 
특히 사측은 이번 안이 최종안인 만큼 더 이상 양보할 수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이유일 법정관리인은 "이번에 발표한 안이 최종안이기 때문에 법정관리기업으로서 더이상 물어설 곳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는 "정리해고·분사가 철회되지 않으면 총파업을 풀 수 없다"며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다.
 
업계는 이와관련, 쌍용차 노사가 자체적으로 이번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단계는 이미 지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사측도 이제 노조와 협상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단계는 지났다는 입장이다. 사측이 제시한 최종안을 거부하고 노사간 물리적 충돌을 겪은 이상 노사가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쌍용차 고위관계자는 "직원들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 했다"며 "노조는 법정관리기업이라는 현실을 무시한 채 기존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어 노사간 협상은 더이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노조측도 사측의 공장철수를 환영하면서 `정리해고·분사 철회`라는 기존 입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경기본부 관계자는 "사측이 제시한 최종안이 정리해고에 불과하기 때문에 노조측은 총파업이란 기존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쌍용차 사태를 풀기위한 마지막 카드는 공권력 투입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오는 이유다.  
  

 
업계는 총파업 사태가 더이상 지속된다면 결국 쌍용차는 공멸의 길을 걸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의 세제지원 등 자동차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쌍용차의 6월 판매는 90여대에 그쳤다.
 
일선 영업소에서는 전시차량까지 팔고 있지만, 이마저도 바닥이 나 영업사원들마저 빠른 속도로 이탈하고 있다. 게다가 쌍용차 중고차값 마저 크게 떨어지면서 회사가 정상화 된다해도 신차 수요가 얼마나 회복될지 불투명하다.
 
쌍용차의 7월은 더욱 암울하다. 그나마 6월은 지난 5월에 판매한 2868대의 대금이 들어와 근근이 버텼다. 하지만 7월에는 판매량이 100대 미만으로, 아예 들어올 자금조차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