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최정훈 기자
2024.07.24 06:00:00
가계신용대출 내준 저축은행 31곳…전체 절반이하 그쳐
저신용자 대출 시행 8곳 불과…불법 사금융 몰릴 우려↑
"연체율 8%대로 높아…신규 대출보다 건전성 관리 먼저"
"대부업 활성화와 시장연동형 금리 상한 방식 도입 시급"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저축은행이 서민 대출의 문턱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 금융당국 압박으로 연체율 관리가 핵심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부실 우려가 큰 서민에게 대출을 내줄 여유가 없다는 것이 이유다. 대출을 받을 곳이 없는 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2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가계신용대출을 신규 취급한 저축은행은 31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가계신용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34곳)보다 3곳 줄었다. 국내 79개 전체 저축은행 중 신용대출을 취급하는 곳이 절반도 되지 않는 셈이다.
저신용자의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문턱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올해 6월 기준 가계신용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 중 23곳은 신용점수 600점 이후 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내주지 않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저신용 대상 신용대출을 취급하지 않은 저축은행(17곳)보다 6곳이 더 늘었다. 이에 저신용자에게 대출을 내주지 않은 저축은행은 전체 74%를 차지하게 됐다.
민간 중금리 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도 줄고 있다. 올해 2분기 민간 중금리 대출(사잇돌2 제외)을 취급한 저축은행은 27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31개사) 대비 4개사가 줄었다. 민간 중금리 대출은 신용 하위 50% 이하 중·저신용자를 위한 제도다.
저축은행권의 올해 6월 기준 민간 중금리 대출잔액은 2조 3307억원으로 지난해(1조 8587억원)보다 25.3% 증가했다. 그러나 신용점수 501∼600점 저신용자에게 민간 중금리 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은 12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6곳)보다 4곳 줄었다. 평균 대출 금리도 같은 기간 15.04%에서 15.24%로 0.2%포인트 올랐다.
신용점수 801∼900점 신용자에 민간 중금리 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은 31곳에서 27곳으로 줄었지만 평균 대출금리는 14.63%에서 14.07%로 0.56%포인트 감소했다. 중·저신용자 대상 정책금융상품인 사잇돌2대출의 금리도 높아졌다. 올해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17곳이 취급한 사잇돌2대출의 평균금리는 14.99%로 3개월 전(14.67%)보다 0.32%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이 저신용자의 대출 문턱을 높이는 이유는 신규 대출을 확대할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에 따른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건전성 지표가 빠르게 악화하고 이 때문에 대손충당금 압박도 거세진 것이 핵심이다. 저신용자 대출은 부실 가능성이 커 저축은행이 취급에 더 신중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저축은행권의 대출 규모는 빠르게 줄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상호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은 99조 9515억원으로 직전 달(100조 7456억원)보다 7941억원(0.78%) 감소했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는 10조 9696억원(9.88%)가 줄었다. 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이 100조원 아래로 내려간 건은 지난 2021년 11월(98조 1324억원)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연체율이 아직 8%대로 높은 수준이라 신규 대출을 확대하기보다는 건전성 지표를 관리해 대손비용을 낮추는 게 먼저다”며 “고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저신용자 대출은 부실 우려가 여전히 커 함부로 늘리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저축은행이 저신용자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불법 사금융으로 몰리는 서민들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서민금융연구원의 ‘저신용자 및 우수대부업체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제3금융인 대부업체에서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이동한 저신용자는 최대 9만 1000명으로 추산됐다. 이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조달한 금액은 최대 1조 4300억원으로 전년(최대 1조 2300억원)보다 늘었다,
서민금융연구원 관계자는 “대부업 활성화와 시장연동형 금리 상한 방식 도입 등을 통해 서민 대출 숨통을 틔워야 한다”며 “예금수취 금융회사와 대부업 등 비 수신 금융회사 간 최고금리 규제 차별화, 단기·소액 대출은 금리 상한을 더 높이는 방식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