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최훈길 기자
2015.08.27 06:30:00
물놀이 사망자 51명으로 3배 늘어 안전관리 지자체 이관 탓
전문요원 없고 동네주민이 안전요원 맡기도
해수욕장 사망율 최고..50대 이상 절반, 해수욕장서 숨져
부실관리 우려에도 안전처는 물놀이 안전관리 ‘뒷전’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올해 여름 휴가철에 물놀이를 갔다가 숨진 사람이 작년보다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욕장·바닷가 사망자가 유독 많이 늘었다. 올해부터 해수욕장 등에 대한 안전관리 책임이 해양경찰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되면서 구난·구조 업무에 구멍이 뚫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6일 국민안전처(안전처)에 따르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집계 결과 7월부터 이달 25일까지 물놀이 사고로 51명(남 46명·여 5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일 1명 꼴로 사망자가 발생한 것이다. 강·하천·계곡·바다 등 전국 1697개 물놀이 관리지역에서 숨진 인원을 집계한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7~8월) 발생한 사망자(16명)보다 3배 이상 많다. 지난 6년간 7~8월 중 물놀이 사망자수 평균은 39명이다.
올해 물놀이 사망자수가 늘어난 것은 해수욕장과 바닷가에서 사망사고가 급증한 영향이 컸다. 올 여름(7~8월) 해수욕장과 바닷가 사망자는 총 16명(해수욕장 9명·바닷가 7명)으로 작년 5명(6~8월 기준)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났다. 50대 이상 물놀이 사망자 11명 중 6명이 해수욕장에서 숨졌다. 익사보다는 심근경색 등으로 인한 사망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올 여름 물놀이 사망자가 급증한 원인은 올해부터 물놀이장 안전관리 업무를 맡은 지자체의 무성의한 대응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정부는 작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해수욕장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해수욕장 등에 대한 안전관리는 지자체가 전담하고, 해양경찰은 해상구조에만 전념하도록 했다.
지난 달 초 안전처가 안전감찰관을 투입해 전국 11개 시·도 해수욕장 60개소를 점검한 결과, 상당수 해수욕장이 구조장비·인력이 턱없이 부족하고 안전요원은 동네주민 등 비전문가를 고용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적발 이후에도 대다수 지자체가 재정난을 이유로 안전관리에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전라남도의 경우 도내 해수욕장 안전요원 216명 중 93명(43%)이 해상구조 자격증이 없는 비전문가다. 전라남도 해수욕장에서는 올해 2명이 사망했다.
전남도청 관계자는 “지방재정이 열악해 안전요원을 고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며 “안전처가 아무런 지원 없이 안전관리 강화만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양경비안전본부(해경) 관계자는 “작년에는 세월호 침몰 이후 해수욕장 이용객이 워낙 적었고, 올해는 해수욕장 이용객이 20%가량 늘어나는 등 물놀이 인원이 늘어난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