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성곤 기자
2013.02.09 18:10:38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인사스타일은 ‘한 번 신뢰를 준 인사들이 믿음에 보답하면 또 다시 중용하는’ 신뢰의 정치다.
그렇다면 박 당선인과 정치적 생사고락을 함께 해온 친박근혜계 인사들의 대거 발탁은 가능할까? 5년 전 이명박 대통령의 인수위 시절에는 이른바 이상득·이재오·정두언 등 친이계 인사들이 전면에 나섰다. 반면 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안팎에서는 친박근혜가 자취를 감췄다.
실제 친박 주요 인사들은 대선 이후 종적을 감췄다. 대부분이 중앙 정치무대에서 사라져 지방이나 외국에서 휴식 또는 칩거를 선택했다. 박 당선인에게 부담을 주기 싫다며 새 정부의 성공을 염원하며 백의종군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 이는 과거와 달리 친박 실세 특정인이 인사를 주무른다는 소문이 들려오지 않은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박 당선인 역시 주요 직책에 측근을 발탁하는 것은 본인이 대선에서 강조했던 인사 대탕평의 원칙에 배치되는 데다 능력 위주의 전문가 발탁을 강조하면서 측근들을 최대한 배제했다. 이는 지난달 4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구성에서 명확히 드러난 내용이었다.
대선 이후 박 당선인의 인사는 크게 당선인 비서실, 인수위 구성, 총리 후보자 발표 등으로 요약된다. 당선인 비서실 및 인수위 구성에서는 파격 발탁이 적지 않았지만 공통적인 특징은 법조인을 선호하고 신뢰관계를 형성한 인사들을 재기용한다는 점이다.
우선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는 검찰 출신의 법조인으로 지난해 4.11 총선 당시 새누리당 공천심사위원장을 지냈다. 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장 역시 헌법재판소장을 지낸 법조인 출신으로 지난 대선 당시 새누리당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냈다. 지난 8일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발탁된 김장수 내정자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대선 때 국방안보추진단장을 맡은 김 내정자는 인수위에서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로 활동했다.
박 당선인의 이러한 원칙을 감안할 때 설날 연휴 직후로 예상되는 청와대 진용 구축 및 조각작업에서 친박 인사들의 대거 발탁이 점쳐진다. 물론 야권에서는 ‘쓴 사람만 또 쓴다’며 인재풀의 한계를 비판할 수 있지만 박 당선인이 본인의 인사스타일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친박 인사들은 박 당선인에 대한 로열티가 대단히 높다. 일부에서는 ‘쓴소리를 전혀 못하는 예스맨’이라고 평가절하지만 당선인의 정치철학과 가치를 잘 이해하는 것은 물론 오랫동안 호흡을 같이 해온 인사들이 대부분이서 새 정부의 성공에 꼭 필요한 인재들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멀게는 15년전 정계입문 당시에서부터 2004년 탄핵역풍과 17대 총선, 2007년 당시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을 거쳐 지난해 18대 대선까지 박 당선인과 인연을 맺은 친박 인사들은 한둘이 아니다. 이들은 대체로 박 당선인의 정치역정 고비 때마다 생사고락을 함께 해왔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부의 경우 정국 주요 고비 때 박 당선인과 거리가 멀어지기도 했지만 지난해 총선과 대선을 전후로 대부분이 박 당선인 곁으로 복귀했다.
아울러 친박계 전·현직 의원들의 경우 각종 선거를 통해 크고작은 검증 과정을 거쳤다는 점 또한 강점이다. 김용준 인수위원장의 초대 총리 후보자 자진사퇴 이후 박 당선인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유는 인사실패였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당선인 지지율은 대선 득표율(51.6%)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정도였다. 이런 점에서 정치인 출신 친박 인사들을 기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청문회 통과가 용이할 수 있다.
박 당선인 역시 여의도정치에 거리를 뒀던 이명박 대통령과는 달리 여의도 정치권과의 거리 좁히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가시적인 조치는 향후 인사에서 친박의 대거 발탁이다. 내각과 청와대 곳곳에 친박 주요인사들이 진출할 경우 당정 또는 당청간 발생할 수 있는 불협화음을 사전에 방지하고 효과적 국정운영을 위한 공조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박 당선인으로서는 충분히 고려해볼만한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