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명철 기자
2020.03.11 06:30:00
공적마스크 사기 힘든 직장인 등 가격 부담 커
민간물량 20%로 축소…기업 등 쏠림현상 우려
“필요시 최고가격 지정…유통시장 모니터링 중”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해 정부가 마스크 관리를 강화했지만 온라인 시장은 ‘남의 일’이다. 평일에 짬을 낼 수 없는 직장인의 경우 온라인 구매가 불가피한데 판매가격이 높아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민간물량 가격 통제를 위해 신고·승인제를 도입했지만 실효성은 미지수다. 수급 불안이 심화할 경우 가격 상한제나 전면 배급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마스크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자 정부는 생산량의 80% 이상을 공적물량으로 배정하고 지난 9일부터 일주일간 1인 2매 구매 제한을 둬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배분토록 했다. 사실상 마스크 준(準)배급제를 실시한 것이다.
공적마스크는 매일 오전 약국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어 회사에 출근해야 하는 직장인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서울 시내 대기업에 다니는 최모씨(37)는 “점심시간에 가면 이미 판매가 끝난 상태고 집에 가족들이 있지만 대리구매도 허용하지 않는다고 해 온라인 구매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한달 전에 비해 온라인에서 마스크를 구할 수는 있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별다른 통제가 적용되지 않은 온라인 시장에서는 여전히 마스크 가격이 높은 수준이다. 10일 현재 포털사이트의 최대 중고거래 카페 중고나라에서는 KF94 마스크가 3000~400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쿠팡은 같은날 KF94 마스크가 낮게는 3000원 안팎에서 높게 6000원 이상에 판매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쿠팡이 직접 마스크를 구입·배송하는 로켓상품의 한 장당 가격이 1000원 이하인 것도 많지만 장기간 ‘일시 품절’ 상태여서 사실상 구입이 불가능하다.
정부가 직접 계약해 약국 등을 통해 판매하는 공적마스크 가격은 1500원으로 통일했다. 온라인은 이와 비교하면 최고 4배 수준까지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공적물량 확대에 따른 민간물량 수급 불안에 대비해 정부는 마스크 3000장 이상 판매 시 온라인으로 신고하고 1만장 이상은 승인을 받도록 규제를 마련했다. 물량은 한정됐는데 구매력이 높은 기업이나 지자체 등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이번 대책이 온라인 등 민간 유통시장에서 거래하는 가격까지 낮출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