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종호 기자
2020.07.20 06:00:00
한경연, ‘코로나19 이후 근로형태 변화 및 노동환경 전망’ 조사
‘유연근무제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라는 답변 51.1% 집계
“다양한 형태 유연근무제 위해 근로기준법 개선” 목소리
[이데일리 김종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내 대기업 4곳 중 3곳은 재택근무와 원격근무 등 유연근무제를 실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제를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근로기준법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근로형태 및 노동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 4개사 중 3개사(75.0%)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신규 도입 또는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기존 유연근무제를 보완 및 확대’했다는 기업은 45.8%, ‘유연근무제를 신규로 도입’한 기업은 29.2%였다. ‘현재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는 않지만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은 10.0%이며, ‘도입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은 15.0%에 불과했다.
대기업이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는 ‘재택·원격근무제(26.7%)’, ‘시차출퇴근제(19.0%)’, ‘탄력적 근로시간제(18.3%)’, ‘선택적 근로시간제(15.4%)’,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8.1%)’, ‘시간선택제(6.2%)’ 등 순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확대한 대기업 10곳 중 6곳(56.7%)은 유연근무제 시행이 업무효율 및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긍정적(15.6%)’, ‘긍정적(41.1%)’, ‘이전과 비슷함(38.9%)’, ‘부정적(3.3%)’, ‘매우 부정적(1.1%)’ 등 순이었다. 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의 과반(51.1%)은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에도 유연근무제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유연근무제를 ‘축소’하겠다고 응답한 기업(7.8%)의 6.6배 수준이다.
또 대기업은 코로나19가 노동시장에 몰고 올 가장 큰 변화로 ‘비대면·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 다변화(39.1%)’, ‘산업구조 디지털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25.1%)’ 등을 지적했다. 포스트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정책방향으로는 ‘유연근무제 관련 근로기준법 개선(33.7%)’, ‘유연근무제 인프라 구축비 지원(26.8%)’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노동시장에서는 근로형태, 평가·보상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가 예상 된다”면서 “변화한 노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노사는 협력적 관계를 구축·강화하고 국회와 정부는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및 재량근로제 대상업무 확대 등 관련 법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