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pick]"이란과 전쟁 원치 않아"…볼턴에 공개 경고한 트럼프

by이준기 기자
2019.05.17 06:22:58

CNN "볼턴 등의 對이란 무력충돌설에 짜증 내" 보도
美언론의 '트럼프 對 볼턴' 구도, 심기 건드렸나
볼턴의 '강경 이미지' 활용…당장 갈라서진 않을 듯

사진=AFP
[뉴욕=이데일리 이준기 특파원] “이란과 전쟁을 하지 않기를 원한다.”

도널드 트럼프(사진 아래)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한 윌리 마우러 스위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이란과의 ‘전쟁설(說)’을 일축했다. 전쟁설의 진원지가 ‘매파 중의 매파’ 존 볼턴(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을 비롯한 트럼프 행정부 최고위 참모들인 만큼, 이들을 향한 공개 경고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

이란을 비롯해 북한·베네수엘라·중국 등 4대 외교 난제의 해법을 놓고 ‘온건한’ 트럼프 대통령과 ‘강경한’ 참모들 간 ‘충돌설’이 제기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현 국면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친 동시에 자신이 ‘최고 의사결정권자’임을 부각한 것으로 읽힌다.

미국 CNN방송은 이날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사태를 군사적 충돌로 몰고 가려는 볼턴 보좌관 등 백악관 참모진들에 짜증을 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12만 병력 파견’ 등 군사작전 검토설이 불거지는 등 미국의 대(對)이란 압박이 볼턴 보좌관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대한 불만이 팽배하다는 게 CNN 보도의 요지다.

사실 볼턴 보좌관은 과거 아버지 부시 행정부 당시 이라크전을 설계했던 네오콘(신보수주의자)의 핵심 인물이었다.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를 상징하는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를 통한 ‘패권’ 야심을 보였던 그는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는 옛 로마의 격언을 자주 인용, 일각에선 ‘전쟁광’으로도 불렸다. 최근 전쟁설이 도래하자, 미국 언론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쟁을 속삭이는 자”(CNN) “존 볼턴의 궁극적인 승리의 순간”(내셔널인터레스트) “이건 존 볼턴의 세상이다. 트럼프는 그 안에 살고 있을 뿐”(LA타임스) 등의 자극적인 제목을 붙이며 볼턴을 주목했던 배경이다.



비단 이란 사태의 해법뿐만이 아니다. ‘한 나라 두 대통령’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고 있는 베네수엘라 해법을 두고도 트럼프 대통령과 볼턴 보좌관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는 게 미 언론들의 분석이다. CNN은 “볼턴 보좌관이 최근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을 축출하기 위한 군사개입을 노골적으로 거론한 것에 대해서도 불만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노 딜’(No deal)로 귀결된 제2차 북·미 하노이 핵 담판 역시 막판까지 ‘빅 딜’(Big deal)을 고수한 볼턴 보좌관의 입김이작지 않게 작용했다는 게 정설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볼턴 보좌관을 위시한 백악관 내 참모들 사이에 ‘의견충돌’ 없지 않음을 우회적으로 시인한 적이 있다. 그는 전날(15일) 트위터에 “(내부에서)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지만 내가 결정적이고 최종적인 결정을 한다”며 강온 수위를 둘러싼 온도차가 있다는 사실 자체는 부인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볼턴 보좌관이 뒤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조종하고 있으며, 결국 대부분의 외교 관련 결정이 ‘볼턴의 뜻대로 이뤄지고 있다’는 미국 언론과 전직 관리들의 분석이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를 건드렸을 공산이 크다. “이란과의 전쟁을 원치 않는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한 마디를 두고 사실상 볼턴을 겨냥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배경이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의 매파 참모들에게 대이란 압박 전략 강화가 공개적인 전쟁으로 악화돼선 안된다는 메시지를 던졌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기본적으로 ‘신(新) 고립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을 비롯해 북한·베네수엘라 사태에 미군이 직접 개입하는 ‘무력충돌’을 원치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이미 지난 2016년 대선 과정에서 미국의 ‘세계경찰’ 역할에 반대하며 해외 주군 중인 미국의 신속한 철수를 공약으로 내건 바 있기 때문이다. 한 당국자는 최근 WP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민이 이란의 공격으로 사망하는 등의 이유로 위기감이 극적으로 고조되지 않는 한, 이란에 대한 무력 공세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이번 내분설을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볼턴 보좌관이 멀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지만, 당장은 갈라서진 않을 것이라는 게 워싱턴 정가의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볼턴이 강경한 견해를 갖고 있지만 괜찮다”며 “내가 볼턴 보좌관의 성질을 죽이고 있다”고 했다. 볼턴 보좌관의 ‘강경노선’을 충분히 컨트롤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편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메시지’가 필요할 때마다 볼턴 보좌관을 내세우는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는다. 로버트 거트맨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최근 AFP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동경하는 ‘강함과 거침’을 볼턴이 대변하기 있다고 본다”며 “따라서 볼턴 보좌관을 계속 필요로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