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관용 기자
2019.09.26 06:00:10
軍 정비·수리창 10개, 인력 5600여명
육·해·공군 상호 연계성 없이 운영
민간위탁, 방산 경쟁력 제고·고용창출
"책임경영 가능토록 민간에 문 열어야"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부가 국방개혁 2.0을 추진하면서도 군 무기체계 정비 분야 혁신에는 무관심한 모양새다. 민간 위탁 확대나 민영화 등은 고려하지 않고 부족 인력을 군무원으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국방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운영 원칙에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현재 육군의 종합정비창에는 1385명이 근무한다. 해군은 정비창 1개와 수리창 3개에 총 2054명의 인력이 있다. 공군은 정비창 5개에 2122명이 근무하고 있어 3군 중 최대 규모의 창정비 시설과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정비창이나 수리창은 상호 연계성이 없고 통합 운영도 되지 않는다. 각 군의 무기체계만 전담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들 군직 정비는 30년 이상 된 노후 설비와 열악한 작업 공정 등으로 인해 플랫폼(차체·선체·기체)만 분해하는 재래식 기술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마저도 업체 관계자들이 참여해 수행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엔진이나 구성품 정비는 외주에 의존한다. 특히 장비별 여전 정비와 창정비 능력, 경제성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종합 정비창에 모든 지원 기능을 집중해 창정비 적체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군의 군직 정비 체계 유지는 국가적으로 해당 장비를 생산한 방위산업체와의 중복 투자를 의미한다. 하지만 군은 정비창 규모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육군의 경우 병력 감축에 따른 현역 인원 감소로 기술 군무원을 지속 충원해 규모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육군과 달리 병력을 감축하지 않는 해군과 공군은 군직 정비창 규모 축소 계획이 없다. 되려 F-35A 스텔전투기 도입 등에 따른 추가적인 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방부는 지난 노무현 정부 당시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민간 자원 활용을 통한 국방경영 효율성 향상을 추진하면서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에도 이를 명시한바 있다. 그러나 이는 선언적·개념적 수준에 그쳐 이후 국방개혁기본계획에서 구체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특히 군의 조직 축소 우려와 비용절감에 대한 공감대 부족, 초기 단계의 예산 증가 우려 등으로 답보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